문학

산에 들에

하근찬 지음
쪽수
400쪽
판형
152*255
ISBN
979-11-6861-194-8 04810
가격
25,000원
발행일
2023년 11월 11일
분류
하근찬 전집 12

책소개


★2021년 작가 탄생 90주년 기념 <하근찬 전집> 최초 출간★

★2023년 하근찬 전집 3차분 발간★ 


태평양전쟁 말기부터 해방까지의 이야기를 담은 장편소설,

제12권 『산에 들에』



단편적으로 알려졌던 소설가 하근찬,

그의 문학세계를 새롭게 조명하다


한국 단편미학의 빛나는 작가 하근찬의 문학세계를 전체적으로 복원하기 위해 ‘하근찬문학전집간행위원회’에서 작가 탄생 90주년을 맞아 <하근찬 문학 전집>을 전 22권으로 간행한다. 한국전쟁 이후 한국소설의 백미로 꼽히는 하근찬의 소설 세계는 단편적으로만 알려져 있다. 하근찬의 등단작 「수난이대」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으로 이어져온 민중의 상처를 상징적으로 치유한 수작이기는 하나, 그의 문학세계는 「수난이대」로만 수렴되는 경향이 있다. 하근찬은 「수난이대」 이후에도 2002년까지 집필 활동을 하며 단편집 6권과 장편소설 13편을 창작했고 미완의 장편소설 3편을 남겼다. 하근찬은 45년 동안 문업(文業)을 이어온 큰 작가였다. ‘하근찬문학전집간행위원회’는 하근찬의 작품 총 22권을 간행함으로써, 초기의 하근찬 문학에 국한되지 않는 전체적 복원을 기획했다.


원본과 연보에 집중한 충실한 작업,

하근찬 문업을 조망하다


하근찬 문학세계의 체계적 정리, 원본에 충실한 편집, 발굴 작품 수록, 작가연보와 작품 연보에 대한 실증적 작업을 통해 하근찬 문학의 자료적 가치를 확보하고 연구사적 가치를 높여, 문학연구에서 겪을 수 있는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 

하근찬 문학전집은 ‘중단편 전집’과 ‘장편 전집’으로 구분되어 있다. ‘중단편전집’은 단행본 발표 순서인 『수난이대』, 『흰 종이수염』, 『일본도』, 『서울 개구리』, 『화가 남궁 씨의 수염』을 저본으로 삼았고, 단행본에 수록되지 않은 알려지지 않은 하근찬의 작품들도 발굴하여 별도로 엮어내어 전집의 자료적 가치를 높였다. ‘장편 전집’의 경우 하근찬 작가의 대표작인 『야호』, 『달섬 이야기』, 『월례소전』, 『산에 들에』뿐만 아니라, 미완으로 남아 있는 「직녀기」, 「산중 눈보라」, 「은장도 이야기」까지 간행하여 하근찬의 전체 문학세계를 조망한다. 


12권 『산에 들에』

강제 징용의 공포에 떨어야 했던 수많은 봉례들


1984년 발표된 하근찬의 후기 장편소설 『산에 들에』는 태평양전쟁 말기인 1944년 가을부터 해방이 되는 1945년 여름까지를 배경으로, 전쟁이 동원이라는 형태로 민중의 삶의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4개의 장으로 구성된 『산에 들에』는 가을, 겨울, 봄, 여름의 사계절로 나뉘어 있으며, 전쟁은 머나먼 곳의 일이었던 황달수 일가에게 시간이 지날수록 급박하게 대응해야 할 현실적인 위협으로 다가오는 전쟁을 하근찬은 ‘소문’이라는 수단을 통해 보여준다.

하근찬은 ‘황달수’와 그 일가 인물들을 통해 민중의 삶이 전쟁과 같은 근대적 폭력에 의해 피해를 입고 상처받는 상황을 포착한다. 그는 소설에서 이념화된 국민 정체성이 아니라 민중의 세계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펼쳐간다. 즉, 『산에 들에』는 전쟁의 풍파 속에서도 낙천적인 시선을 잃지 않는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 그들의 따뜻한 성장의 이야기인 것이다.


마을 처녀들을 모두 징용으로 끌고 간다는 소문이 돌고, 열여덟 처녀 봉례의 아버지 황달수는 딸을 ‘데이신따이(정신대)’로부터 지키기 위해 서둘러 시집보낼 준비를 한다. 두만과 연인 관계였던 봉례는 그 소식을 듣고 슬픔에 빠진다. 혼례 당일, 할머니 황성녀의 집으로 도망을 갔다가 가족들에게 끌려온 봉례는 강제로 혼인하게 된다. 그리고 친구 순금이 ‘데이신따이(정신대)’로 끌려갔다는 소식을 듣는다.

만주 일대를 떠돌다가 고향으로 돌아온 ‘황달칠’은 귀금속 헌납을 강요받다가 강제 징용의 대상이 되고, 소설 속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 운동장에는 일본군 공병부대가 주둔한다. 작품 속 제국 일본의 동원은 마을 공동체를 파괴하면서 과거로 돌아갈 수 없는 변화를 남긴다.

이처럼 국가의 동원은 하근찬의 작품 속에서 민중의 삶을 파괴하는 위협으로 그려진다. 시간이 지날수록 국가의 동원은 사람들을 압박하지만, 그들의 세상은 국가가 만든 경계에 의해 갈라지지 않는다. 즉, 민중을 향한 제국의 핍박 속에서도 민중공동체를 단단히 지켜나간다.

해설에는 김요섭 문학평론가가 참여하여 기존 연구 성과에 현대적 관점을 더함으로써 현재적 의미를 밝히고 있다.


첫 문장                                                                                         

드문드문 가볍게 던져놓은 듯한 구름송이가 한가롭게 떠 있는 맑은 하늘에 붓으로 가늘고 길게 찍 그은 것 같은 두 줄기 하얀 구름이눈에 띄었다.


연관 키워드                                                                                    

#하근찬 #한국소설 #근현대사 #한국전쟁 #전집 #태평양전쟁 #영천 


책 속으로                                                                                       

p.85

학교에서나 동네에서 아이들에게 곧잘 자랑을 해대는 것은 말할 것도 없었다.

“우리 누부 시집간다 아나?”

“우리 집에 올기쌀 억씨기 많대이. 돗자리에 항거(가득) 늘어놓았어.”

“떡도 하고, 유과도 만든다 아나? 유과 너거 묵어 봤나? 참 맛있대이.”

이렇게 으스댈 것 같으면 아이들은 용길이를 부러운 눈으로 바라보곤 했다. 어떤 아이는,

“유과 나도 좀 도개이.”

하고 아첨을 하듯 헤헤 웃기도 했다.


p.142

국민학교 선생이 되려고 열심히 중학 강의록 공부를 하던 두만이가 지원병으로 나가다니, 그럼 선생이 되려는 꿈을 내던져버렸단 말인가. 제 발로 걸어서 헤이따이상이 되려고 지원해 가다니, 전쟁터에 나가서 죽으면 어쩌려고…… 봉례는 가슴이 뭉클하게 젖어오는 것을 어쩌지 못했다. 두만이가 지원병으로 나가버린 게 자기 탓이고, 자기가 두만이의 등을 떼민 것만 같아 견딜 수가 없었다.


p.200

“금붙이가 없는 집은 할 수가 없지만, 있는 집은 헌납해 달라는 것인데, 뭘 그렇게 떠들어쌓소. 다 국가를 위해서 하는 일 아니요. 대동아전쟁을 하루 속히 승리로 이끌기 위해서 하는 일인데, 여러분이 협조를 안 하면 누가 한단 말이요, 안 그렇소?”

그러자 몇몇 사람이,

“예, 맞심더.”

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저 멀뚱히 구장의 얼굴을 쳐다보며 듣고만 있을 뿐이었다.


p.358

그런 기다림의 정은 딸이나 손녀가 ‘데이신따이’로 끌려 나간 경우가 한결 짙고 간절하다고 할 수 있었다. 남정네들은 남정네들이라 그렇다 치고, 처녀의 몸으로 어디로 끌려가서 그동안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생각하면 애처롭고 가슴이 쓰려 특히 어머니나 할머니들은 전쟁이 끝나고 해방이 되었다는 말에 우선 아이고, 우리 아무개가 돌아오게 됐구나, 하고 눈물을 글썽거리며 기뻐했었다. 나라를 되찾아 독립이 된다는 그런 것은 그 다음이었다.


작가 소개                                                                                       

하근찬(河瑾燦, 1931~2007) 


1931년 경북 영천에서 태어나 전주사범학교와 동아대학교 토목과를 중퇴했다. 1957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수난이대」가 당선되었다. 6.25를 전후로 전북 장수와 경북 영천에서 4년간의 교사생활, 1959년부터 서울에서 10여 년간의 잡지사 기자생활 후 전업 작가로 돌아섰다. 단편집으로 『수난이대』 『흰 종이수염』 『일본도』 『서울 개구리』 『화가 남궁 씨의 수염』과 중편집 『여제자』, 장편소설 『야호』 『달섬 이야기』 『월례소전』 『제복의 상처』 『사랑은 풍선처럼』 『산에 들에』 『작은 용』 『징깽맨이』 『검은 자화상』 『제국의 칼』 등이 있다. 한국문학상, 조연현문학상, 요산문학상, 유주현문학상을 수상했으며 1998년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  2007년 11월 25일 타계, 충청북도 음성군 진달래공원에 안장되었다.



차례                                                                                           

발간사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해설 | 동원과 삶, 그리고 성장의 기억-김요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