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공동체의 감각

허정 지음
쪽수
360쪽
판형
152*225
ISBN
978-89-92235-94-5 93810
가격
18,000원
발행일
2010년 6월 14일
분류
산지니평론선 5

책소개

새로운 공동체 형성을 모색한 『공동체의 감각』 출간

2000년대 한국문학을 대상으로 공동체의 감각문제를 오랫동안 고민한 허정의 두 번째 평론집 『공동체의 감각』이 출간되었다. 이번 평론집은 1996년 창비신인평론상으로 비평활동을 시작한 저자가 2002년 첫 평론집 『먼 곳의 불빛』(창비, 2002) 발간 이후 7년 6개월 만에 낸 평론집이다.

이 책은 2000년대 한국문학을 대상으로 공동체의 감각에 대한 문제를 살펴보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 공동체가 가진 억압적인 성격을 덜어내고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공동체 형성으로 나아가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2000년대 한국문학을 대상으로 공동체의 감각문제를 살피다

문학은 그 특유의 예민한 촉수를 바탕으로 공동체의 감각이 발아하는 지점을 구체적인 형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매력적인 매체이다. 뿐만 아니라 문학은 공동체 형성에 대한 각종 징후들을 개념적 진술이 아니라 감각적으로 포착해내기 때문에, 읽는 이들이 공동체에 대한 감각을 일깨우고 단련할 수 있는 좋은 매체이기도 하다. 2000년대 문학에도, 비록 일부이긴 하지만, 현실에 응전해가는 특유의 감수성이 창안되고 있으며, 여기에도 공동체 형성으로 나아가는 길이 내재해 있다고 본 저자는 2000년대 한국문학을 그 대상으로 하여 공동체의 감각문제를 살펴보고 있다.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공동체를 모색하다

기존 문학에서 공동체라는 이름을 달고 나온 도서는 생태학과 가족 같은 일부 영역에 국한되어 있다. 이에 비해 『공동체의 감각』에서 다루고 있는 공동체는 주체와 타자, 중심과 주변, 국가와 민족, 인종과 계층, 남자와 여자, 인간과 생태, 인간과 동물, 인간과 기계 사이에 놓인 다양한 경계를 넘어 새롭게 만들어가야 하는 공동체를 말하고 있다. 기존 공동체에 대한 범주를 뛰어넘어 이미 만들어진 공동체가 아니라 주체 문제에 대한 탐색을 통해 새롭게 만들어가야 하는 것이라는 점을 담고 있는 것이 타 유사도서와 변별되는 지점이다.


관점과 실천에 대한 사유를 담아내다

이러한 새로운 공동체 형성을 위해서는 우선 자율성과 자기 결정권을 강화해온 기존의 주체를 해체하고 주체를 취약성의 관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때 억압적인 계몽주체와 비실천적인 무주체의 곤경을 피하면서, 주체와 타자 사이의 공통성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동체 형성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유를 바탕으로 1, 2부에서는 주체의 취약성, 무적성(無籍性), 타자성에 대한 생각들을 담아내고 있다. 동시에 그러한 공동체가 사회 모순이나 전지구적 차원에서 벌어지고 있는 폭력을 막을 수 있는 중요한 정치적 자원이 되기 위해서는 주체의 실천성 문제도 중요하다. 주체는 비판적인 실천행위를 담지해내고 지금과는 상이한 대안세계를 만들어갈 거점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차이와 다양성을 존중하면서도 사회 모순에 맞서 다양한 실천을 포기하지 않는 주체의 상에 대한 사유를 3부에 담아내고 있다.


경계를 형상화한 다양한 문학작품을 살펴보다

이 시대 공동체 형성에 이르기 위해서는 우선 그동안 현실에 강고하게 쳐져 있던 다양한 경계를 넘어설 필요가 있는데 1부 경계와 연대에서는 이러한 점을 형상화한 문학작품을 주목하고 있다.

「공동체의 감각은 어떻게 발아하는가?」는 2000년대 한국 시에서 공동체의 감각이 발아하는 지점을 주목하고 있다. 「코시안과 한국문학」과 「국경을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에서는 이주민·혼혈인들과의 연대나 공동체 형성을 위해 국경과 순혈의식을 어떻게 넘어설 것인지를 살피고 있다. 「요즘 오규원의 날이미지가 생각나는 이유」는 무턱대고 사용했던 ‘코시안’이나 ‘혼혈’과 같은 용어문제를 반성적으로 성찰하고 있으며 「시집 두 권을 읽다」에서는 타인의 고통이 이를 재현하는 창작주체들의 다양한 목적에 이용되고 있는 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주체와 타자의 경계를 넘어 타인의 고통에 어떻게 다가갈 것인지를 살펴보고 있다. 「동물과 함께 살기」는 인간중심주의를 넘어 동물과 함께하는 잡종공동체를 어떻게 모색해나갈 것인지를, 「기억, 그 양날의 칼」에서는 주체 스스로에게 유리한 것만을 특권화하고 타자를 억압할 위험이 있는 기억의 문제를 공동체 형성의 도정에서 어떻게 사유할 것인지를 고민하고 있다.


이 시대 삶의 양식에 문제를 제기하다

2부 문제틀로서의 지역에서는 지역을 문제틀(problematique)로 사유하는 방법을 통해 이 시대 삶의 양식에 문제를 제기하고, 이 문제를 풀어나갈 해법을 지역을 통해 찾아보고 있다. 사회적 삶의 기본단위이자 최소단위인 지역에서 대안 세계화를 꿈꾸어보는 일, 그것이 바로 지역을 문제틀로 사유해보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지역이라는 장의 구체성을 중시하면서도 지역을 보편성의 수면 위로 끌어올려 사유하고 있다. 이는 몇 겹의 억압이 중첩되어 있는 지역에서 타자성(무적성)의 발견과 연대의 가치를 증진시키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가는 것이라는 점에서, 이 역시 공동체 형성이라는 책 전체의 주제와 맞닿아 있다. 이러한 저자의 생각은 「바다에 모인 상처 입은 자들의 연대」에서 본격적으로 드러나고 있으며, 최원식 비평가의 지역론을 동아시아론과의 관계 속에서 검토해본 「보편주의와 향토주의의 회통―최원식론」, 지역 시에서 장소성을 어떻게 형상화할 것인지를 고민한 「장소의 구체성」에도 부분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시의 현실 관련성과 현실 응전력을 살펴보다

3부 시와 현실에서는 시의 현실 관련성과 현실 응전력에 관한 글들을 담고 있다. 「시적 언어와 시적 주체의 주관성」에서는 시적 주체의 주관성을 ‘사회적 증상과 동일시하려는 표현의지’로 사유함으로 인해 자아중심주의를 비껴선 자리에서 시의 동일성을 사유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모순에 맞서는 응전력으로서의 사회성이 발생할 수 있음을 모색하고 있다. 「임화의 청년과 촛불집회의 대중」에서는 1930년대 주체 재건을 위한 임화의 고투와 최근 촛불집회의 대중들에게 나타난 새로운 주체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차이를 인정하면서도 사회 모순에 맞선 다양한 실천을 포기하지 않는 주체의 상을 조감하고 있다. 「이 시대 한국 시의 진보에 대해 생각한다」에서는 시의 현실 응전력과 이를 떠받치는 거점으로서 ‘주체와 진보’ 문제에 대한 고민을 담아내고 있다.

「서정과 현실의 역동적인 교섭―유성호론」에서는 유성호 비평의 잣대인 서정과 현실의 역동적인 교섭관계를 주목하고 있으며 「노년의 삶과 화해 불가능성」에서는 에드워드 사이드의 말년성 개념을 빌려 김규태 시에 드러난 현실 불화 의식을 살펴보고 있다. 「내 몸을 빌려줄게―이영주, 『108번째 사내』」와 「환원논리에 맞서는 즐거운 놀이―장대송, 『섬들이 놀다』」는 낯설면서도 어려운 시들을 현실과의 연관 관계 속에서 살펴보고 있다. 

지역문학은 대안일 수 있는가?


책 속으로

47~48p 한국사회의 뿌리 깊은 편견과 차별로 인해 혼혈인들은 이 땅에 뿌리내리기 어려웠다. 출생상에 개입된 도덕적인 문제를 혼혈인에게 투사시킨 한국사회의 편견, 혼혈인들이 가진 다양한 정체성이나 능력을 무시하고 그들을 동류항으로 묶어 범주화한 검둥이·튀기라는 호명, 교육·취업·결혼 등 죽을 때까지 그들을 따라다니는 차별로 인하여 무서움에 질린 얼굴, 분노에 찬 얼굴을 하고 살아가던 그들은 “나는 돈 많은 나라 아메리카로 가야 된대요”라는 한 혼혈아동의 절규처럼, 결국 한국을 떠나게 된다. 세계제일의 고아수출국이라는 오명을 쓰고 있는 한국에서 그들은 국외로 입양되거나, 피부색으로 인한 차별이 조금은 덜한 미국으로 이민을 떠나게 된다. 2006년 미국 슈퍼볼 최우수 선수가 된 하인즈 워드의 경우도, 흑인의 피가 섞인 혼혈인에 대한 학대가 심한 이 나라의 풍토 때문에 미국으로 이민을 택하게 되었다고 한다. 워드가 한국에 계속 있었다면 지금의 모습으로 성장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한국에서는 성년이 된 혼혈인을 쉽게 찾기 어렵게 되었고, 아동의 의미만을 환기시키는 혼혈아(混血兒)라는 차별적인 말이 지금까지 버젓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별은 최근의 혼혈인들에게 이어지고 있다. 특히 그들에게는 부모 국가의 가난을 열등한 인종으로 환원시키는 시각이 더해져 그 차별의 실상이 한층 더 심해진다. 인종 간 서열을 매겼던 일제 식민통치에서 2등 국민으로 받았던 서러움과 서구 1세계인들에게서 느꼈던 그간의 열등감을 가학적인 공격으로 전도시킬 표적을 마침내 발견해낸 듯, 우리는 삐뚤어진 우월감을 앞세워 가난한 나라에서 온 이주민들을 잔인하게 억압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그 자녀에게까지 투사하고 있다.



저자 소개

허정

저자 허정(許正)은 1971년 경남 의령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5학년 이후 부산에서 살고 있다. 1996년 「먼 곳의 불빛―나희덕론」으로 제3회 창비신인평론상을 수상하였고, 2008년에 동아대학교에서 「임화 시 연구」라는 제목으로 학위를 받았다. 문학평론집으로는 『먼 곳의 불빛』(2002)이 있다. 현재 『오늘의문예비평』 편집주간을 맡고 있으며,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차례

책머리에


1부 경계와 연대

공동체의 감각은 어떻게 발아하는가?

코시안과 한국문학

요즘 오규원의 날이미지가 생각나는 이유

국경을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

시집 두 권을 읽다

동물과 함께 살기

기억, 그 양날의 칼


2부 문제틀로서의 지역

바다에 모인 상처 입은 자들의 연대

보편주의와 향토주의의 회통―최원식론

장소의 구체성

하구둑 건설 이후의 낙동강 하구


3부 시와 현실

시적 언어와 시적 주체의 주관성

임화의 청년과 촛불집회의 대중

이 시대 한국 시의 진보에 대해 생각한다

서정과 현실의 역동적인 교섭―유성호론

노년의 삶과 화해 불가능성

내 몸을 빌려줄게―이영주, 『108번째 사내』

환원논리에 맞서는 즐거운 놀이―장대송, 『섬들이 놀다』


발표지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