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거기서, 도란도란

이상섭 지음
쪽수
240쪽
판형
148*210
ISBN
978-89-6545-502-8 03810
가격
14,000원
발행일
2018년 4월 16일
분류
한국소설
*2018 이주홍문학상 수상도서

책소개

부산을 발견하는 새로운 글쓰기, 이상섭 팩션집


소설은 허구라는 상식은 여전히 유효할까? 최근 독특한 글쓰기로 부산의 장소를 다루기 시작한 작가 이상섭의 작업들은 소설의 정의를 확장시킨다. 이번에 출간되는 『거기서 도란도란』은 부산의 장소성을 ‘팩션’이라는 장르로 녹여냈다. 해운대, 사직종합운동장, 대저 적산가옥, 정과정공원 등 부산의 역사가 깃든 몇몇 장소들은 작가가 그려낸 ‘허구’의 서사를 통해 16편의 이야기 속에서 재탄생했다.
“부산의 역사나 장소성을 담아내는 스토리텔링 작업”(「작가의 말」중에서)의 일환으로 창작된 ‘팩션집’의 출간에서 주목할 점은, 부산에서 살아가는 한 개인의 가감 없는 경험과 안목의 기록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이야기’를 통해 부산을 발견하는 창작행위로 이동했다는 것이다. 지속적으로 ‘부산’이라는 장소에 천착하며 본격 소설로 편입되지 않은 새로운 장르를 통해 ‘허구’의 글쓰기를 시도하는 작가의 작업은 역사적 실체이자 삶의 장소인 부산을 발견하는 다채로운 시선을 보여준다.


시공을 가로지르는 복원의 드라마, 열여섯 편의 부산 소묘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었다. 이상섭 작가는 부산의 몇몇 공간을 배경으로 인물과 사건을 도입하여 말 그대로 ‘팩트-사실’로서의 공간에 ‘픽션-허구’로서의 서사를 덧입혀 16편의 ‘팩션들’을 선보인다. 소설과 같은 듯 다른 미묘한 팩션이라는 장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기억과 정서가 스며든 상징화된 부산의 장소를 서사의 배경으로 삼았다. 이야기 속의 이야기, 서사 속의 서사라는 이중 구조를 통해 역사 ? 문화적으로 고유명사화된 장소의 내력을 하나둘씩 들춰내 보여주는 것이 팩션의 묘미라고 할 때, 이상섭 작가의 이번 팩션집은 근현대의 시공간이 가로놓인 부산이라는 상징화된 장소가 품은 역사적 이력에 대한 흥미로운 주석으로 읽힐 수 있다.
더불어 이 책을 통해 팩션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접하는 즐거움 또한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가의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상상력의 산물로서 드러나는 소설 속 장소와는 달리, 팩션 속 장소는 실재 공간과 사건이 진행되는 허구 속 공간이 이중으로 겹쳐져 환상성이 가미된 현실적 공간으로 모호하게 드러난다. 16편의 이야기 속에서 나름의 역사를 품은 부산의 장소들은 작가 이상섭이 버무려낸 허구의 기술을 통해 다채롭게 감각된다.


물결 따라, 바람 따라, 사람 따라 흘러가는 삶의 실감을 포착하는 기록의 힘


이 책의 1부에서 다루고 있는 ‘오륙도’, ‘해운대’, ‘일광과 기장’에서부터 ‘우암동’, ‘용호동’, ‘영도구의 동삼동’ 등의 장소가 드러나는 방식에 먼저 주목해보자. 작가는 부산에 실재하는 상징적 공간들을 배경으로 인물과 사건을 도입함으로써 한 편씩의 고유한 서사들을 만들어낸다. 인물들의 만남을 통해 빚어지는 사건은 배경이 되는 특정 공간에 시대의 감각을 덧입혀 화려하고 북적이는 천편일률적인 공간에 생동감을 부여한다. 단편 소설을 접하는 기분으로 가볍게 읽어내려 가다 보면 어느새 익숙했던 만큼 잊혀지기 쉬웠던 부산 속 삶의 장소들이 하나, 둘 드러난다. 허구 속 인물의 일상과 더불어 그들이 발붙인 장소에 스며든 기억과 정서들이 이곳 나의 일상과 겹쳐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수순이다.
3부로 구성된 16편의 이야기 속에는 동시대의 현실과 더불어 근현대의 시공간이 두루두루 배치되어 있어 팩션을 읽는 묘미는 배가된다. 캐나다 참전용사 허시형제 이야기를 통해 이방인의 시선으로 감각되는 6?25의 참상(「영원히 함께」), 일제강점기의 상징적 공간인 대저동 적산가옥을 배경으로 재구성해낸 여성의 지난한 삶(「마지막 숨바꼭질」)에서부터, 유적지 정과정 공원을 배경으로 문학적 지식을 곁들여 고전시가 <정과정곡>의 내력을 풀어낸 이야기(「아리아리 아라리」)까지 부산을 기점으로 스토리텔링 작업을 해나가며 ‘기록의 중요성’을 절감했다는 작가의 고백이 고스란히 옮아온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 팩선집을 통해 선보이는 이상섭 작가의 허구적 글쓰기는 상징적 장소에 정박된 역사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감각할 수 있도록 독자들을 초대한다. 역사적 실체로 놓여 있는 부산의 ‘장소’들에 기억과 정서를 간직한 ‘인물’이 들어가 그려내는 삶의 터전으로서의 부산은 어떤 모습일까.



책속으로/밑줄긋기

p.40-41 자, 이제 눈을 떠봐. 눈을 떴을 때, 사방은 안개에 뒤덮인 듯 흐릿했다. 할아버지, 지금 무슨 짓을 한 거예요? 쉿, 할아버지가 말했다. 눈앞의 안개가 서서히 걷히는 듯싶더니 성당 건물이며 바닷가에 위치한 부두 건물들도 사라지고 오래된 어촌 풍경이 나타났다. 우와, 할아버지 여기가 대체 어디에요? 여기가 어디긴, 여기가 여기지. 발아래엔 초록 보리밭이 펼쳐져 있고 아늑한 바닷가에는 작은 목선들이 떠 있었다. 고개를 옆으로 돌려봐. 할아버지의 말을 따라 고개를 돌리니 정말 쇠로 만든 소 같은 바위가 언덕배기에 놓여 있었다. 저게 소바위, 우암이란다. 그래서 알았다, 이곳이 왜 우암동이란 지명이 붙었는지를. 근데 할아버지, 저 바위는 어디 갔어요? (「뭐뭐 - 우암동 소막 이야기」부분)


p.51 어쩌면 이것 또한 운명일지 몰랐다. 바람을 닮은 녀석. 녀석의 몸속에 든 바람 또한 이 땅이 만들어낸 것, 그걸 어찌 막는단 말인가. 바람을 눌러 죽이는 방법은 없다. 저절로 제 속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막았다간 되레 불길을 일으켜 제 생명을 앗아갈 수 있을 터. 바람은 흐르는 대로 두어야 한다. 그래야 산다. 어쩌면 단점이야말로 바람 없이는 날아오를 수 없는 방패연이 아니겠는가. 그러니 둘이서 저리 어울려 산이며 바다를 헤맬 수밖에. (「저기 둥둥 떠 있던 - 용호동 신선대」부분)


p.101-102 아치가 고향을 떠나 입대한 것이 지난 1950년 9월 7일의 일이었다. (…) 장장 23일간의 기나긴 항해 끝에 이국의 작은 항구도시 부산에 도착했다. 크리스마스를 일주일 앞둔 12월 18일이었다. 그때까지 아치가 전쟁이 일어난 코리아라는 나라에 대해 들은 거라고는 일본의 식민지였다는 사실뿐이었다. 그걸 증명하기라도 하듯 구축함에서 내렸을 때에는 일본식 가옥들이 눈에 걸렸다. 이곳이 일본인들의 집단적 거주지였다는 사실은 며칠 뒤에 알았다. 하지만 그것 빼고는 모든 게 평화로워 보였다. 어쩌면 그 이유가 흰옷을 입은 사람들과 둥글둥글하게 생긴 낮은 지형 탓인지 모른다. 이런 곳이 평화를 잃고 전쟁 중이라니 믿기지 않는군. 곁에 있던 빅토르가 중얼거렸다. 빅토르의 말에 아치 또한 고개를 주억거렸다. (「영원히 함께 - 캐나다 참전용사 허시형제 이야기」부분)


p.148 언니, 언니는 어디로 갔나요? 언니가 혹시 나타날까 봐 지금도 이렇게 가끔 밖으로 나서곤 한답니다. 오늘은 유모차에 의지해 기어이 미우라의 저택까지 오고 말았네요. 이곳도 엄청 변했답니다. 그 많던 배나무들은 사라지고 건물들이 들어서서 적산가옥마저 보이지 않을 정도가 되었으니까요. 미우라는 과수원을 헐값에 넘기고 도망치듯 제 나라로 돌아갔습니다. 그런데도 언니는 소식조차 없더군요. (…) 언니는 처음부터 이곳을 떠난 적이 없었습니다. 아니, 떠나려야 떠날 수 없는 몸이었지요. 그렇지 않고서야 어찌 한 번도 날 찾아오지 않을 리 있겠습니까. 미우라는 자신의 죄를 숨기려 아주 깊은 곳에 언니를 묻었을지 모릅니다. 그렇지 않았다면 도망치듯 허겁지겁 일본으로 돌아가지 않았을 겁니다. 그러니 언니, 오늘은 내가 쓰러지더라도 과수원 일대를 샅샅이 뒤져볼 작정입니다. 혹시 압니까, 억울해 삭지 못한 언니의 뼈마디 하나가 오늘 불쑥, 고개를 내밀지요. (「마지막 숨바꼭질 - 강서구 대저동 적산가옥 이야기」부분)



저자 소개

이상섭 李相燮


1998년 국제신문 신춘문예, 2002년 창비신인소설상으로 등단했다. 소설집으로 『슬픔의 두께』 『그곳에는 눈물들이 모인다』 『바닷가 그집에서, 이틀』 『챔피언』이 있으며, 르포집 『굳세어라 국제시장』『을숙도, 갈대숲을 거닐다』를 썼다. 2010년 백신애문학상, 2013년 봉생문화상을 수상했다. 현재 해운대관광고교 국어 교사로 근무 중이다.



차례

1부 물결 따라

여섯, 아니 다섯 9
효자가 피워 올린 봉홧불 18
갯마을 소묘 28
뭐뭐 38
저기 둥둥 떠 있던 48
버드나무 아래서 83

2부 바람 따라

영원히 함께 95
마지막 숨바꼭질 116
안녕, 나의 메카여 125
이꿍이꿍 쩌꿍쩌리꿍 138
어와둥둥 146

3부 사람 따라

아리아리 아라리 157
그해 사흘 동안 172
저 벼들처럼 어깨를 겯고 181
동래의 마지막 기생 202
어머니의 노래 218

실감과 감동 - 조갑상(소설가) 235
작가의 말 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