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구텐탁, 동백아가씨

정우련 지음
쪽수
260쪽
판형
148*210
ISBN
978-89-6545-462-5 03810
가격
13,000원
발행일
2017년 12월 28일
분류
한국에세이

책소개

“젊은 날의 내 앞에는 언제나 힘든 일상이 떡 버티고 있었다.”
외롭고 쓸쓸한, 우리 모두의 이야기


인생과 문학, 예술에 대한 깊은 단상을 새긴 산문집 『구텐탁, 동백아가씨』가 출간됐다. 정우련 작가에게 부산작가상을 안겨준 소설집『빈집』(2003) 이후 오랜만에 만나는 책이다. 저자는 전작에 꼭꼭 눌러 새겼던 고독을 갈무리하여 이번 산문집에서 담담한 문체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대공황 당시 ‘고향이 그리워도 못 가는 신세’였을 한 떠돌이 노동자의 애환을 담은 노랫말이 가슴을 아릿하게 파고든다. 어린 날의 그 집을 떠난 이후, 또는 그 어딘가로부터 돌아갈 수 없이 멀리 와버렸구나, 하는 그런 아련한 느낌. -「500마일즈보다 멀리」 중에서

짧은 노랫말로 입을 연 저자는 그동안 차곡차곡 쌓아왔던 이야기들을 독자 앞에 꺼내 보인다. 인생은 외롭고 쓸쓸하지만, 그런 가운데서 소소한 행복을 찾고 아름다움을 읽는 저자의 모습은 곧 우리들의 모습이다. 저자는 글을 통해 돌아갈 수 없을 만큼 멀리 떠나 와버린 ‘어딘가’에 대해 이야기하고, 기억에만 남은 그리운 ‘누군가’에 대해 말한다. 그리고 인생에 대해 말한다. 가난과 외로움이 언제나 따라 붙던 유년의 기억부터 결코 순탄하게 흘러가지만은 않았던 여성으로서의 삶, 지금도 이어지는 예술가로서의 길까지.


“과거와 현재의 시간이 만져지는 이곳에서
나는 또 한동안 지친 날개를 쉬고 싶다.”

낡은 둥지에 새겨진 유년의 아픔과
굴곡진 삶에서 만난 소중한 사람들을 말하다


정우련 작가는 일상의 이야기 가운데 어린 시절의 기억을 되짚어간다. 넉넉함과는 거리가 멀었던 유년기, 가족들도 그리 든든한 울타리가 되어주지 못했다. 고등학교 등록금 청구서 앞에서 등을 보이던 아버지, 지금까지도 생생하게 기억하는 어머니의 뒷모습. 작가는 이렇듯 빈자리가 훨씬 컸던 시절의 이야기들을 담담하게 풀어놓는다.


유년시절의 나는 늘 슬펐다. 할머니가 누룩을 빚어 만든 술 익는 냄새도 슬펐고, 검은 천이 덮여 있던 콩나물 시루에서 콩나물이 자라는 것도 슬펐다. (…) 엄마를 떠나오면서, 나는 말 없는 아이가 되었다. 내 안에서는 들끓는 언어가 소용돌이치는데 한 마디도 뱉어낼 수 없었다. -「송정 연가」 중에서

돌이켜보면 어려운 시간이었지만, 이제는 그 아픔마저도 아련한 추억으로 떠올릴 수 있게 되었다. 어린 시절의 기억이 새겨진 옛 동네를 다시 걸으며 미소를 띨 수 있는 여유가 생겼으며, 힘들었던 기억을 글로 쓰고 다독일 수 있을 만큼 마음도 차분해졌다. 오래 묵은 기억은 아픔인 동시에 선물이었다. 저자는 유년의 슬픔이 자신을 문학으로 이끌었다고 말한다. 비록 가슴에 남은 수많은 기억들로 ‘시도 때도 없이 울컥’ 올라오는 감정을 안고 살게 되었지만, 저자는 그 기억에 감사한다. 기억 속에는 슬픔이 가득하지만, 이제는 청승스럽다고 부끄러워할 일이 아니라고 여긴다. 저자는 슬픔의 시간을 ‘가장 순수하고 진실해지는 순간’이라고 받아들인다. 그리고 예술의 기반이 된 그 오래된 감정을 모두 끌어안는다.


“길을 떠나는 누구나가 길 끝에서
간절히 바라는 무언가를 만나게 되기를 기원하는 것처럼.”

도서관의 문학소녀, 작가가 되다


이 책에는 문학에 대한 저자의 깊은 애착과 열정이 드러난다. 저자 자신의 본질이 소설에 있다고 말하는 부분에서 더욱 그렇다. 하지만 사회의 시선은 냉담해서, 저자는 ‘돈 안 되는 소설’ 말고 드라마 대본을 써보라는 주변인들의 말에 상처를 받는다(「민달팽이가 간다」). 첫 장편의 완성을 코앞에 두고 ‘다시는 소설 같은 거 쓰지 않을 거’라며 괴로움을 토로하는 동료 작가와 함께 고민하기도 한다(「토지문화관에서 보낸 한 철」). 한 줄 한 줄 쓰는 글이 독자 앞에서 부끄럽지 않기를 바라면서.


5년째 장편을 만지고 있는 소설가도 있었다. 신경숙 표절 사태 이후 작가로서 얼마나 부끄러웠는지 모른다고. 그저 아무렇게나 소설 써서는 독자에게 부끄러운 일이라고. 이제 한 달만 주무르면 던져도 될 것 같다고 수줍게 웃었다. 그 웃음은 일상의 온갖 핑곗거리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내 등짝을 사정없이 내리치는 죽비 같았다. -「토지문화관에서 보낸 한 철」 중에서

학창시절 육성회비를 낼 돈으로 덜컥 세계문학전집을 사고, 쉬는 시간마다 도서관으로 달려갔던 문학소녀는 이제 작가가 되어 현실을 마주한다. ‘참담한 심정’으로 겪었던 신경숙 표절 사태 이후, 저자는 독자 앞에 내밀어도 부끄럽지 않을 글을 쓰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수록작「표절 유감」을 통해 저자는 창작자 스스로가 갖춰야 할 정직성과, 표절의 유혹을 과감하게 잘라낼 수 있는 용기에 대해 이야기한다.



책속으로/밑줄긋기

p.21 문학이 주는 힐링은 느리게 오는 것이다. 문학은 어떤 스님의 즉문즉설처럼 그 자리에서 묻고 곧바로 답을 주진 않는다. 온갖 불행한 인간들의 삶 속에 스스로 발을 담그고, 그 속에서 사랑하고 고뇌하고 갈등하면서 달팽이처럼 천천히 자기 길을 찾아가는 것. 그것이 문학이 주는 놀라운 힘이요, 느린 힐링이다.


p.56~57 선생이 남기고 가신 육필원고며 필기구, 저작들, 젊은 날의 사진, 반짇고리, 밭농사 기구들까지. 그것들 앞에 가만히 다가서면 선생이 그럴 수 없이 가깝게 느껴졌다. 『토지』를 끝내고 나니 늙은이가 되어 있더라는 선생의 탄식이 들리는 것 같아 가슴이 먹먹해지곤 했다.


p.108 대평동이 내게 마냥 행복한 공간만은 아니었다. 아이들의 태생적 명랑함으로 내게도 유년은 유쾌하고 즐거운 기억으로 가득하다. 하지만 성장통이란 어떤 아이에게도 피해 갈 수 없는 통과의례인 법. 내성적인 아이였던 내게 그것은 좀 더 지독했다.


p.151 콜비츠의 <집 없는 도시인>(1926)에는 구걸할 힘조차 없어 보이는 한 가족이 등장하지요. 남편을 잃은 여인과 아버지를 잃은 아이들. 더 이상 굴러떨어질 곳 없는 도시의 최하층민으로 전락한 한 가족의 절망적인 순간 말입니다. 배가 고파 울다 지쳐 잠든 큰아이와 나오지 않는 젖을 빨며 엄마 품을 파고드는 갓난아이를 안고, 어떻게 하면 이 자식들을 먹여서 살려낼까 하는 고뇌에 찬 어머니의 비참한 모습.


p.216~217 조선 최초의 서양화가로 1910년대의 뛰어난 문필가로, 여성운동가로 활동한 그녀의 이혼 후의 삶은 참혹했다. 이혼한 여성에게 주어진 조선의 불합리한 가족제도와 공권력까지 동원할 수 있는 남성 중심의 권력 앞에서 그네는 무기력했다. 그네의 분노는 심신을 병들게 했다. 한때 왕성한 예술활동으로 자신을 몰아붙이기도 했지만 그네는 끝내 52세의 나이에 행려병자로 죽어간다. 동시대 여성들에 비해 100년을 앞서 산 선각의 삶은 그토록 슬프고도 아름다웠다.



저자 소개

정우련


1958년 부산에서 태어나 부산여대 문예창작학과를 거쳐 경성대학교 국어국문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16년 동안 여러 대학에 출강하였다. 1996년 「국제신문」 신춘문예에 소설이 당선되어 문단에 나온 이후 2000년 부산소설문학상을, 2004년에는 소설집 『빈집』으로 부산작가상을 수상하였다. 부산일보에 「그림에세이」, 「미술기행」 등을 연재하여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차례

1부 아침 숲길을 걸으며
500마일즈보다 멀리
그 여자의 사과나무
민달팽이가 간다
구텐탁, 동백아가씨
호떡 한 개의 위안
우리들의 아름다운 선장
오동나무 아래에서
엄마와 딸
모르는 사람
소통하는 담장
늙은 페인트공의 노래
토지문화관에서 보낸 한 철
서해안 낙조

2부 세상 속으로
작가는 무엇으로 사는가
소리로 듣는 문장
이우환과 인문학적 상상력
돈에 물을 뿌리다
읽는 인간
긴 하루
표절 유감

3부 장소와 사람
송정연가
고향마을로 가는 마실
남원사람

4부 그림이 있는 풍경
노란 원피스와 인상주의
혼자 갑니다
까페 떼아뜨르에 걸린 그림
서양에선 동양화가 동양에선 서양화가
소실점이 있는 길
화가의 얼굴
가난에 대하여
펄펄 끓기 시작해서 4분간
빛의 바다
빈집
나목
째려보는 사람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꽃, 페미니즘을 말하다
저 치통 같은 청춘
19세기 술집 풍경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봄이 오는 길목에서

5부 책 읽는 오후
병 속의 새를 어떻게 꺼낼까
죽음은 자신의 삶만큼 맞게 된다
예술가 소설
에미는 선각자였느니라
트라우마
선운사 동백을 보러 가다
진정한 성장의 의미
소설이란 무엇인가
종말로 치닫는 문명의 위험
이 불편한 진실
책 읽는 사람들
볼 수 있지만 보지 않는 사람들
오 바틀비여, 오 인간이여
결혼 생각

책끝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