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내게 없는 미홍의 밝음

안지숙 지음
쪽수
246쪽
판형
148*210
ISBN
978-89-6545-384-0 03810
가격
13,000원
발행일
2016년 12월 16일
분류
한국소설
*2017 세종도서 문학나눔 선정도서

책소개

투덜대며 문제를 끌어안고 사는 주인공들
불안전한 세계에 사는 여성들
현실의 우리와 닮았다


2005년 「바리의 세월」로 신라문학상을 받으며 문단에 등단한 안지숙 소설가의 첫 번째 소설집으로, 작가가 십여 년 동안 틈틈이 쓴 일곱 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다. 소설 속 인물들은 문제를 해결하고 극복하기보다 문제를 끌어안고 미련스럽게 견딘다. 화려한 인생을 꿈꾸기보다 투덜거리며 현실에 순응하는 모습이 오히려 더 현실적이다. 비정규직이나 계약직, 외주업체에서 일하는 여성, 가정이나 사회에서 상처 입은 여성의 이야기로, 작가는 불안전한 세계에 사는 여성의 이야기로 현실의 리얼리티를 고스란히 책에 담았다.
실제로 소설에 나온 직장 생활 이야기는 안지숙 작가의 경험에서 나왔다. 작가는 스토리텔링 업체나 외주 업체에서 ‘을’의 입장에서 일한 경험, 수개월째 월급이 밀렸지만 결국 받지 못했던 경험을 살려 소설에 녹여냈다.
작가의 실감 나는 이야기는 소설보다 현실이 더 끔찍하지 않느냐고 넌지시 묻는다. 당연했고 만연했기에 지나쳤던 일상의 고통과 상처를 소설에서 가감 없이 드러내며 사람들에게 각성과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주인공들이 내쉬는 가쁜 호흡에는 가정사까지 배여 있지만 차라리 지금 어려운 현실에 서 있는 모습들이 펄펄 살아 있는 이야기를 만든다. 인물들은 불안정하고 비인간적인 현재 직장을 떠나 길 찾기 앱이 깔린 휴대폰을 들고 새 길을 찾고 있지만, 적당히 타협하거나 반발하기보다는 차라리 더 철저하게 굴종하고 패배하는 인간상을 보여주는 것도 안지숙의 길 찾기로 보인다. 작가는 그만큼 지친 사람들이 우리 사회에 가득하다는 걸 정확하게 알고 있기 때문이다. _조갑상 소설가 

‘비정규직’으로, ‘을’로 살아가는 약자들
우리 사회의 모순을 함축적으로 보여준다


「놀래미」, 「내게 없는 미홍의 밝음」, 「각다귀들」은 직장생활을 이야기의 주 무대로 삼았다. 「놀래미」에서 여경은 스토리텔링을 해주는 문화마케팅 회사에서 일한다. 회사의 본부장과 대표는 부부로, 둘의 마음에 드는 직원을 승진시키고 중요한 일을 준다. 소문이 무성한 상태에서 직원들은 하나둘 나가고 여경은 본부장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었던 탓인지 프로젝트를 맡게 된다. 그런데 여경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회사의 창업정신과 스토리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기 위해 지어낸 가짜라는 걸 알게 된다.
「각다귀들」는 청와대 수석비서관급 K에만 의지해서 사업을 따내려는 최 국장을 재치 있게 다뤘다. 최 국장은 영숙에게 몇 달째 월급을 주지 않고 있다. K의 동향을 파악한 후 정책만 따내면 한 방에 빚과 월급을 해결해줄 수 있다고 말한다. 영숙은 밀린 급여와 상여금을 받기 위해 최 국장이 시키는 일을 하지만 결국 최 국장은 믿었던 K에게 사업을 따내지 못한다.
작가는 두 작품이 자신의 경험담이라고 말하며 회사라는 공간에서 펼쳐지는 우리 사회의 불합리와 모순을 함축적으로 다뤘다.

 

현실은 비참하고 씁쓸하지만 길 찾기에 나서보자


「내게 없는 미홍의 밝음」은 소설집에서 가장 희망적이다. 소영은 관청에서 외주를 받는 사설 문화재단에서 재래시장 상인들의 인생을 스토리텔링해주는 일을 하고 있다. 외주를 맡은 프로젝트는 다시 극단에게 외주를 준다. 소영은 비정규직으로 불안정한 자신의 위치와 재단과 극단 사이에 중간자 역할을 하는 게 괴롭다. 다행히 외주를 맡은 극단이 밝음이 대학 때 함께 연극부였던 미홍이 이끄는 극단이다. 가진 건 없지만 좋아하는 일을 찾아가는 미홍이 소영은 부럽다. 고민 끝에 소영은 과감하게 일을 그만두고 미홍에게 극단 일을 해보고 싶다고 전화를 건다. 작가는 미홍과 소영의 인생 모두 녹록치 않지만 이 작품으로 자신의 인생이 어떤 것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길 권한다.

 

삶을 선택하지 못하고 가정과 사회에서 희생당한 여성들


「청게」는 작가의 독특한 개성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부모의 이혼과 사망으로 주인공 ‘나’는 초등학교 때부터 삼촌 집에 얹혀살게 된다. 그곳에서 동갑내기 사촌 지니와 가깝게 지내게 된다. 성인이 된 후 ‘나’는 어렵게 모은 전세금으로 지니와 독립을 꿈꾸지만 예전에 다정한 지니는 온데간데없고 전세금을 노리며 ‘나’의 존재를 귀찮게 여긴다. 상처받은 ‘나’는 조금씩 몸이 변하기 시작하는데 청게잡이를 하러 갔다 목숨을 잃은 아버지처럼, 자신의 몸도 청게처럼 변하는 걸 느끼게 된다.
「스토커의 문법」은 1인칭 독백으로 한 남자에 대한 집요한 집착을 다뤘다. 장애를 가지고 있던 ‘나’는 장애인인권센터 간사로 일하고 있었다. 우연히 재능기부로 강사를 맡은 시인에게 관심을 가지는데, 이후 ‘나’는 시인이 일하는 신문사에 계약직 교열기자로 일하게 된다. 그리고 그와 가까이 지내면서 산책도 하고 술도 마시게 된다. 그러다 우연히 그와 하룻밤을 보내게 되지만 그날 이후부터 시인은 해명도 없이 여자를 피해 다닌다. 장애가 있던 여자의 몸은 점점 더 망가져 간다.
「티눈」은 입양한 아들 때문에 소외당한 딸의 이야기를 다뤘다. 아버지는 교통사고로 부모를 잃은 칠촌조카를 집안의 대를 잇게 하겠다며 아들로 입양한다. 주인공은 부모를 원망하며 결국 가출을 한다. 세월이 흘러 아버지가 늙고 병들자 부모는 딸에게 화해의 손짓을 보낸다. 「바리의 세월」은 고단한 삶을 살아가는 어머니의 삶을 그렸다. 외숙모의 집에서 부엌데기로 산 바리는 구박을 받으며 제대로 먹지도 못한다. 그러다 무장승에게 시집을 가게 되고 행복한 시절을 보내는 듯했으나 무장승이 세상을 떠나고 딸 넷을 키우며 다시 어렵게 살아간다. 자식 뒷바라지로 힘겹게 살았지만 시집간 딸들은 바쁘다는 핑계로 바리를 찾아오지 않는다. 자신의 삶을 선택하지 못하고 희생당한 여자의 기구한 인생을 다뤘다.

 


작가의 말

하나같이 알량하게 살아온 여자의 자학개그에 불과할지도 모르겠지만, 어쩔 수 없다. 어쩔 수 없는 건 어쩔 수 없는 일로 받아들일밖에. 핑계라면, 소설은 결국 상처 헤집기라는 것. 상처가 속으로 곪아들기 전에 헤집어서 통증을 느끼게 하는 것. 통증을 견디고 치유하는 방법을 상상의 지평에서 모색하는 것. 이것이, 혹은 이것도 소설 아닌가.

 


책속으로 & 밑줄긋기

 P.18: 헤엄이 서투른 물고기일수록 바다 깊은 곳에서 움직이지 않고 지낸다고 했다. 공격당하면 도망치기 힘드니까 산호초 같은 데 숨는 게 그들의 생존법이었다. 산호초 속에서 가만히 엎드려 있다가 낚시꾼들이 던진 미끼를 가늠하는 놀래미처럼 사는 것이 여경은 부끄럽지 않았다.


P.57~58: 공연이 있을 때마다 선후배와 동기들을 찾아다니며 표를 강매했고, 밥값과 사무실 운영비를 뜯었다고 했다. 덕분에 빈대라는 별명을 얻었다는 미홍이, 나는 부러웠다. 빈대라는 소리를 들으면서까지 붙잡고 갈 만한 뭔가가 있다면 막막하지 않을 것 같았다. 내게는 미홍의 밝음 같은 게 없었다.


P.92: 사장의 사업패턴은 딱 한 가지. 각다귀처럼 K 주변을 돌면서 그의 행보에 주파수를 맞추고, 그의 권력에 빌붙는 방식으로 일을 도모하는 거였다.

 

 

지은이 소개

안지숙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났으며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문예창작학과을 졸업했다. 2005년 단편 「바리의 세월」로 신라문학상을 받았다. 『인생은 생방송』 『왕이 만든 도시』 『희망을 꿈꾸는 민들레』 등 몇 권의 스토리텔링 책자를 대표 집필했다. 야근과 출장으로 얼룩진 시절을 살다가 요즘은 소설쓰기에 빠져 있다.

 

 

차례

놀래미
내게 없는 미홍의 밝음
각다귀들
청게
스토커의 문법
티눈
바리의 세월

작가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