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다시 시작하는 끝

조갑상 지음
쪽수
434쪽
판형
152*223
ISBN
978-89-6545-281-2 03810
가격
16000원
발행일
2015년 6월 19일
분류
한국 소설

책소개

끝에서 다시 피어나는 소설의 시작


25년 만에 재출간되는 조갑상 소설 “다시 시작하는 끝”


소설집 『테하차피의 달』(2009), 장편소설 『밤의 눈』(2012) 등을 펴내며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중견 소설가 조갑상의 첫 번째 소설집을 재출간한다. 소설집 『다시 시작하는 끝』은 조갑상의 데뷔작 「혼자웃기」와 ‘국민보도연맹’ 사건을 다룬 「사라진 하늘」을 비롯해 총 17편의 중단편으로 채워져 있다. 1990년 첫 출간된 이후 25년 만에 다시 만나는 중견 소설가의 처녀작들은 작품 수만큼이나 묵직한 삶의 이야기를 전한다. 특히 재출간본에는 등단 후 두 번째로 발표한 소설 「방화」가 수록되어 「혼자웃기」,「은경동 86번지」와 함께 은경동 3부작을 이룬다. 소설에는 고단한 삶과 그로 인해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인물들, 공간에 대한 긴 묘사, 그리고 쉬이 위로하지 않는 시선이 존재한다. 독특한 상상력과 스타일로 무장한 소설의 홍수 속에서 오랜만에 현실을 삼켜 소화하는 고통을 고스란히 담은 소설을 만날 수 있다. 더불어 『다시 시작하는 끝』에서 조갑상 작가가 전하는 이야기들을 통해 다시 시작하는 삶의 모습을 만나게 될 것이다.

 

아비들이 살아낸, 살아가고 있는 시간들


그의 첫 소설집에 실린 작품들은 모두 요란한 이념과 자극적인 구호가 난무하던 시대에 쓰였다. 그는 그 시대의 소란스러움으로부터 조금 거리를 두고 떨어져서 자기만의 방법으로 역사와 대면하고 있었던 것 같다. 그렇게 그는 홀로 고고하게 아버지들과 싸우고 있었던 것이다. _전성욱(문학평론가)


소설집에는 실로 다양한 시대의 연민과 배신을 안고 있는 아비들이 나온다. 퇴직 후 안주할 곳을 잃어버린 아버지의 삶을 보여주는 「바다로 가는 시간」에서부터 근대를 모색하다 처참하게 피살된 아버지들을 볼 수 있는「어윤중」까지, 조갑상 소설은 다양한 시대와 사건들을 통해 역사와 시간의 잔인함을 보여준다. 소설이 현실을 반영하는 거울이라고 할 때, 세상을 제대로 살펴볼 수 있는 것도 소설이 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수록작「하창기 씨의 주말 오후」는 첫 대선을 앞둔 유세현장에 본의 아니게 휘말린 하창기 씨의 봉변을 통해 민주화의 실상과 무색무취의 중산층의 모습을 예리하게 보여준다.


무색무취의 소시민. 정치적이거나 사회적이라는 거창한 이름이 아니더라도 세상살이 전반에 걸쳐 자신의 색채나 주장을 강력하게 내세우는 게 좋은 건지 나쁜 건지 또는 비겁한 건지 아닌지는 뒤로 하더라도, 다소 애매하게 다수의 편에 서거나 중도에 서는 게 살아온 경험에 비추어 그렇게 손해 본 적이 없었던 것도 사실인 듯했다. 남이 비겁하면 나도 비겁해도 괜찮다는 식으로, 결정적 반대나 절대적 지지도 없이 그만그만하게 살아온 인물이 바로 하창기 씨였다. _「하창기 씨의 주말 오후」 중에서

 

이야기를 지탱하는 지역 공간의 힘


조갑상은 산문집 『이야기를 걷다』를 통해 소설 속에 등장하는 부산의 곳곳을 직접 답사하며 그 감상을 이야기하였다. 이처럼 작가에게 장소는 그저 인물이 사건을 펼치는 공간으로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소설의 더 큰 의미를 담을 수 있는 그릇이 된다. 특히 작가가 20여 년을 살았던 부산 동구 수정동은 「혼자웃기」, 「방화」, 「은경동 86번지」를 이끌어 나가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한다.


구획정리 후 공터로 남아 있던 기억 속의 땅에 3, 4층까지 건물들이 드문드문 들어서 있었다. 공사 중인 건물들도 눈에 띄었다. 정류소 근방은 통행인도 드물고 어딘가 새로 개발된 변두리처럼 엉성하고 황량해 보였다. 본래 철도 담벽을 따라 판자촌이 들어섰던 곳이었는데 그가 고등학교에 입학했을 땐가 엄청난 도시계획의 일환으로 철거되었다. 철도 접경지역과 언덕바지의 불량주택이 집중적인 재개발 대상이었는데, 그가 살던 동네도 계획선이 어디로 그어지느냐에 따라서 희비가 엇갈렸다. 결국 작은 길 하나를 두고 위쪽이 철거되었는데 그것은 자기 또래의 아이들이 말해오던 ‘우리 동네’의 뜻을 애매모호하게 만들어버리고 말았다. _「은경동 86번지」 중에서

중편「은경동 86번지」에서 부산역, 은경동, 신평, 남포동으로 이어지는 문영호의 여정을 따라가다 보면 1980년대의 부산이라는 공간을 만날 수 있다. 근대화라는 말로 시작된 도시 재개발은 새롭게 도시를 만든다는 시작의 의미 저편에 현재의 터를 지워야 한다는 끝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1980년대 부산에는 산동네 집들의 강제 철거처럼 서민들이 고통받는 일들이 많았다. 소설에서는 그런 현실을 은경동이라는 가상의 공간으로 고스란히 가져와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삶과 다시금 만나게 해준다.


17편의 중·단편이 전하는 이 시대 소설의 의미


기억이라는 게 어찌 보면 인간이 다른 동물과 다를 수 있는 가장 큰 요건일지도 몰라요. 어떤 기억은 지극히 슬프기도 하지만 그런 기억을 할 수 있다는 것 자체부터가 행복일 수 있다는 것도 알아야 해요. 길가의 돌멩이 하나를 무심코 참으로 해서 잊혀졌던 기억을 되살릴 수 있다는 게 인간으로 태어난 행복 아닙니까. 드러내기조차 싫은 때 묻은 기억이 있기에 사람은 아름답게 살려고 노력할 수 있는 거죠. 기억을 여러분 자신의 소중한 자산이라고 생각해 보면 좋을 거예요. _「다시 시작하는 끝」 중에서

과거는 기억이라는 이름으로 현재에 남아, 다가올 미래의 시간을 그려낸다. 전성욱 문학평론가는 왜 우리가 다시 조갑상의 첫 책을 읽어야 하는지에 대해 “그것은 그와 함께 우리 모두가 다시 시작하기 위해서다. (… ) 그 시작을 섣부른 희망으로 응원하는 것보다는, 그와 함께 고단한 길을 걸어가겠다는 다짐이 더 절실한 마음이다”라고 이야기한다. 소설을 읽는다는 것은 재미의 영역을 넘어 지나온 시간들을 마주하고 공감이라는 힘을 가질 수 있는 행위다. 조갑상은 소설 「사육」과 「그리고 남편은 오늘도 늦다」를 통해 현대사회의 비인간적인 인물들의 불안과 속물성을 여과 없이 보여준다. 「사육」은 경제적으로 성공한 50대 남자와 피아노를 치고 소설을 좋아하는 20대 여자의 동거와 이별을 담고 있다. 철저한 교환가치의 셈으로 여자를 대하는 남자는 앞으로도 결코 소설을 읽지 않겠다고 다짐한다. 이 대목은 공감 능력이 결여된 인물의 경제적 성공이 어떤 괴물을 만들어내는지 보여 주고 있는 사례다. 「그리고 남편은 오늘도 늦다」에서는 남편의 퇴근을 기다리는 아내의 근심 어린 생각들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전셋집에서 나와 번듯한 나의 집을 갖게 되고, 전문대 교수 자리까지 오르게 된 남자. 하지만 오르면 오를수록 더 높은 고지가 보이고, 언제 아래로 떨어질지 모르는 불안에 휩싸인다. 이처럼 조갑상의 소설들은 우리에게 다시금 소설의 의미를 생각하게 한다. 우리가 당연하다고 여기는 사소한 순간에서부터 스쳐 지나는 풍경, 지금 서 있는 공간까지 소설들 속에 고스란히 녹아 있다. 작가가 끈덕지게 붙잡고 있는 현실의 서사들 속에서 독자는 조갑상 소설이 가지는 소설의 힘을 발견할 것이다.


지나온 세상을 다시 바꿀 수는 없지만 제대로 살펴볼 수 있는 것만으로 위로도 되고 힘이 되었으면 하는, 그런 생각도 해 본다. _「작가의 말」 중에서

 

지은이 소개

조갑상 

1980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혼자웃기」가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다시 시작하는 끝』, 『길에서 형님을 잃다』, 『테하차피의 달』, 장편소설 『누구나 평행선 너머의 사랑을 꿈꾼다』, 『밤의 눈』을 냈고 산문집으로는 『이야기를 걷다』가 있다. 요산문학상, 이주홍문학상, 만해문학상, 서라벌문학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경성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소설을 가르치고 있다.

 

 

차례

혼자 웃기
폭염
사육
살아 있는 사람들
바다로 가는 시간
사라진 사흘
그리고 남편은 오늘 밤도 늦다
익숙한 자는 두렵지 않다
다시 시작하는 끝
동생의 3년
어윤중
하창기 씨의 주말 오후
은어와 바다
사라진 하늘
방화
은경동 86번지
병들의 공화국


해설 : 진정으로 정치적이라는 것 - 전성욱(문학평론가)
작가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