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정 지음
쪽수 | 328쪽 |
---|---|
판형 | 152*220 |
ISBN | 978-89-6545-282-9 03810 |
가격 | 13000원 |
발행일 | 2015년 3월 10일 |
분류 | 한국 소설 |
*몽골 저작권 수출 *2015 지역출판문화 및 작은도서관지원 우수도서
책소개
몽골의‘신의(神醫)’이자 조선의 독립운동가,
우리의 선조 이태준을 기억하다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는 ‘이태준 기념공원’이라는 곳이 있다. 이곳에서 몽골인들은 매독이 창궐했던 1910년대에 수많은 환자들을 치료한 한 조선인 의사를 기린다. 그러나 몽골에서 ‘신의’라 불리던 이태준 선생은 타지에서 조국의 독립운동에 묵묵히 참여한 숨겨진 독립운동가이기도 했다. 선생이 몽골에서 개업한 병원은 독립운동의 거점 중 하나였고, 상해 임시정부는 선생을 군의관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이태준 선생에 대한 국내 자료는 현재 학술논문과 아동서 정도뿐이다. 장편소설 『번개와 천둥』은 의사, 독립운동가, 그리고 신념을 가지고 시대를 살아낸 한 인간으로 선생을 그려내, 엄연히 오늘날의 한국을 가능하게 한 우리의 선조를 기억할 수 있게 한다.
‘대암(大巖)’이라는 호를 가진 이태준 선생은 1883년 경상남도 함안에서 출생하였다. 청년기에 선생은 지인과 함께 함안 지역 내 만세운동을 조직하려다 계획이 발각된 후, 큰 포부를 펼치기 위해 상경했다. 세브란스 의학교 2기 졸업생인 선생은 세브란스 병원에서 근무하던 때에 안창호 선생을 치료했고, 그 연유로 왜경들에게 쫓기게 된다. 1912년 중국 남경으로 망명했다가 몽골로 떠난 선생은 다른 독립운동가들의 도움으로 1914년 후레라는 지역에 동의의국이라는 병원을 열었다. 이곳이 많은 몽골인 환자들을 치료하며 중국과 몽골에서 활동하는 지사들을 보살피고 자금을 확보하는 거점이 된다. 하지만 선생의 활동은 몽골 내로 한정되지 않았다. 임시정부에서 맡긴 임무를 수행하며 중국을 드나들기도 했고, 이 과정에서 의열단에 가입해 폭탄 제조기술을 보유한 헝가리 청년을 의열단 쪽에 소개시켜 주기도 하였다. 이렇게 독립운동과 관련된 임무를 치르기 위해 또다시 중국으로 향하던 중, 선생은 당시 몽골을 침략한 제정 시기 러시아 군인 출신 운게른 남작의 부하들에게 붙잡혔고, 결국 한 일본인 병사의 총에 운명하였다. 이때가 1921년, 갖은 ‘번개와 천둥’으로 점철된 생을 선생은 38세의 창창한 나이에 마감하였다.
사실을 넘어 진실을 비추는 역동적인 이야기
역사 인물 소설은 자칫 사실관계의 나열식 서술로 지루해질 수 있지만, 『번개와 천둥』에서는 이야기를 긴장감 있게 구성한 원로 작가의 노련함이 돋보인다. 선생이 왜경을 피해 한양을 도피하는 지점에서 시작하는 소설은, 독립운동에 대한 다짐을 굳히는 계기였던 도산 선생과의 만남, 혈혈단신으로 도착했던 중국 남경에서 보다 원대한 독립운동의 꿈을 품고 동지들과 몽골로 떠나는 여정, 몽골에서 우연히 매독 환자를 발견한 일 등 이태준 선생 삶의 전환점들에 주목한다. 소설 속에서 안창호 선생은 갓 의술의 길로 들어선 이태준에게 의사(醫師)만이 아니라 의사(義士)로도 살아가기를 당부한다.
“대암, 그대는 백성의 질고(疾苦)를 가엾게 여겨 의사가 되려고 하지 않았는가? 그러나 의사(醫師)를 넘어 나라를 구하는 의사(義士)로도 살아야 해요. 의사(義士)란 정의에 죽고 정의에 사는 사람 아닌가? 이것은 이 시대가 우리에게 요구하는 진리요 정의이네. 처음 만났을 때도 말한 것 같지만 진리는 반드시 따르는 자가 있고 정의는 반드시 이루어지는 날이 있다네. 대암 같은 인재는 백성들의 육체적 질병을 고치는 의술에도 봉사해야겠지만 백성들의 정신을 일깨우는 정신적 의술도 발휘해야 하네. 대암은 그런 일을 할 수 있는 인재란 뜻이네. (…) 대암을 보니, 나와 함께 이 나라를 살릴 동지로 일하고 싶어 하는 소리네.” (…) 태준은 도산의 그러한 제의, 나라 살릴 동지란 말이 너무 반갑고 영광스러웠다.
_「경성 탈출」 중에서
또한, 저자는 심리에 대한 묘사를 구체화해 독자가 역사적 인물과 공감할 수 있게 한다. 몽골에서 치료한 첫 환자이자 진료 보조자가 된 버르테는 어느 날 선생에게 몽골에 사는 독특한 야생마 ‘타키’에 대한 이야기를 꺼낸다. ‘타키’는 순치되지 않는 야생마라 “말과 비슷하나 결코 말이 아닌 짐승”이라고 한다. 선생은 ‘타키’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일본의 통치 아래 고분고분해진 조국의 벼슬아치들을 떠올리며 슬픔에 잠긴다. 이후 ‘타키’를 실제로 보고 싶은 간절한 마음에 아내와 광활한 몽골 고원으로 한나절 여행을 떠나기도 한다.
사람이 지조와 절개를 못 지키는 세상이어서 더욱 순치 안 되는 말 아닌 말이 장하게 보이는 거죠. 나는 타키라고 불리는 그 야생마의 정신을 존중해요. 그래서 그런 타키를 보고 싶은 거지요. _「김은식과의 재혼」 중에서
고된 생활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 속에서 이태준 선생에게 힘이 된 것 중 하나는 신앙이었다. 소설 속 이태준 선생은 성경 중 잠언의 “정의를 굳게 지키면 생명에 이르지만 악한 일을 좇으면 죽음을 불러들인다”는 구절을 되새긴다. 이태준 선생에게도 감명을 준 안중근 의사 또한 천주교 신자였을 만큼, 이 시대 서양에서 들어온 천주교·기독교와 조선인들의 독립에 대한 열망은 간단치 않게 얽혀 있었다. 성인이 되어 세례를 받은 선생은 처음에는 고향에서 만세운동을 함께 계획했던 지인의 권유와 영어를 배우고자 하는 욕구 때문에 기독교를 접했다. 소설을 통해 이태준 선생의 신앙생활이 어떻게 독립운동이나 의사로서의 활동과 이어져 있었는지 살필 수 있어, 시대적 배경이나 한 인간의 삶을 단순화하지 않으려 한 작가의 노력이 돋보인다.
바위처럼 꿋꿋하게 자신의 본분을 다해낸 이의 삶
환자들에게 이태준 선생은 치료를 위해서라면 말을 타고 먼 길도 달려가는 의사였으며, 독립운동을 함께한 동료들에게는 몽골이라는 드넓은 타지에서 굳건히 자리를 지키는 ‘지표’였을 것이다. 단단한 바위는 세월의 풍파를 견딘다고 하지만, 『번개와 천둥』을 통해 우리는 이태준 선생이 ‘인내’를 넘어 고민과 갈등을 거듭하며 시대를 ‘살아낸’ 인물임을 느낄 수 있다. 그가 동료들에게 그러했듯이, 우리 또한 그의 삶에서 오늘날 우리에게 닥친 ‘번개와 천둥’을 헤쳐 나아갈 방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지은이 소개
이규정
경남 함안 출생. 1977년 단편 <부처님의 멀미>를 월간『시문학』에 발표하면서 작품 활동 시작. 소설집 『치우』등 9권과 장편소설, 동화집, 이론서, 산문집, 칼럼집, 등 20여 권의 책을 출간했다.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이사장 등을 지냈고, 현재 부산 원로 민주인사 단체인 민족광장 공동의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종교 활동으로 천주교 부산교구 평신도사도직협의회 회장을 지냈다. 일붕문학상, 부산시문화상, 한국가톨릭문학상, 요산문학상, PSB(현 KNN)부산방송 문화대상, 가톨릭대상, 이주홍문학상, 홍조근정훈장 등을 받았다. 신라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로 2002년에 정년퇴임했다.
차례
1. 경성 탈출
2. 눈에 어리는 고향마을
3. 도천재의 추억
4. 탈향, 한양 살이
5. 세브란스 의학교
6. 새 출발
7. 남경 고초
8. 중국을 떠나다
9. 몽골, 그 광활한 평원
10. 동의의국 개업
11. 독립운동의 거점 동의의국
12. 김은식과의 재혼
13. 운게른의 등장
14. 임시정부의 군의관 감무(監務)
15. 1차 임무 수행
16. 조선 입국과 고향방문
17. 장애와 악운
18. 번개와 천둥
작가의 말
작가 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