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천구 지음
쪽수 | 292쪽 |
---|---|
판형 | 173*235 |
ISBN | 979-11-6861-300-3 03810 |
가격 | 29,800원 |
발행일 | 2024년 5월 8일 |
분류 | 고전오디세이 03 |
*2013 대한출판문화협회 청소년도서
책 소개
우리 민족의 고전, 『삼국유사』 속
바다와 함께한 민중의 이야기를 풀어내다
『삼국유사, 바다를 만나다』는 고려 시대의 승려 일연이 편찬한 역사서 『삼국유사』 중 바다를 소재로 한 이야기의 의미를 풀어낸 책이다. 『삼국유사』의 번역서나 이야기 해설에 관련된 연구는 많다. 하지만 그 속의 의미들을 한 가지 소재를 가지고 풀어낸 연구는 드물다. 『삼국유사』 비교연구 전문가인 정천구 저자는 이 고전 속 바다를 소재로 한 이야기를 모아 독자들이 『삼국유사』를 새로운 시선으로 읽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지리적 특성상 한반도의 역사를 바다와 떼놓고 생각하기는 어렵다. ‘바다’와 관련된 이야기를 중심으로 그 의미를 풀어내면서도 『삼국유사』와 깊은 관련이 있는 ‘역사’와 ‘불교’라는 주제를 살려 책을 크게 ‘1부 역사와 바다’, ‘2부 불교와 바다’로 구성하였다. 그 속에서 독자가 꼭 건져내야 할 핵심은 바로 민중과 그들의 역사를 이해하는 것이다.
참으로 놀라운 것은 백제의 멸망이 바다와 강을 잃으면서 초래된 것임을 꿰뚫어본 민중의 안목이다. 그리고 이야기로써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그 지혜 또한 대단하지 않은가. (중략) 어쨌든 민중의 이야기는 육지에서 신라의 성들을 빼앗으며 그 전과에 만족하는 데 그쳤던 의자왕 및 백제 조정에 대한 은근한 비판이었다.
백제는 두 면이 바다였다. 이제 우리나라는 세 면이 바다다. 과연 저 이야기의 바다, 또 역사의 바다에서 우리는 무엇을 들여다보고 건져내야 할까? (중략) 일연은 바로 그 숨겨진 힘을 민중의 이야기에서 발견하였고, 그래서 『삼국유사』를 편찬하였던 것이다.
_「바다와 강을 빼앗겨 멸망한 백제」 중
일연은 역사적 사건은 물론이요 그와 관련한 민중의 이야기와 그 속에 숨겨진 지혜를 소중히 기록하고자 했다. 백성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이야기는 때로 허황되고 사사롭게 여겨지기도 하지만, 분명 제 나름의 가치가 존재한다.
상징은 관념보다 경험에서 나오고 또 경험에서 더 풍부해지는데, 원시 고대의 신화가 상징의 보고(寶庫)인 까닭이 여기에 있다. 중세에 들어서면서 신화는 터무니없는 이야기로 치부되어 지식인들로부터 배척받았지만, 민중은 여전히 그런 신화의 세계에서 살았다. 그리고 그 흔적을 이야기 속에 남겼다. 탈해 이야기에 상징성이 풍부한 것도 민중의 경험과 상상력이 빚어낸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유교적 관점에서 편찬되어 지식인의 역사인식을 담아낸 『삼국사기』에서는 “성의 북쪽 양정(壤井) 언덕에 장사지냈다”고만 적고 있어서, 그 상징성을 현저히 떨어뜨렸다.
_「바다가 기른 영웅, 탈해」 중
민중의 신화가 던지는 역사의 재발견
1289년경에 일연이 편찬한 『삼국유사』는 20세기에 들어서야 비로소 우리 민족의 고전으로 대접받았다. 근대로 넘어오면서 민족주의가 대두되자 『삼국사기』와 달리 사대주의적인 성향이 없고 오히려 매우 주체적이라는 평가를 받았고, 또한 『삼국사기』에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은 상고사와 고대사에 대한 정보를 부분적으로나마 제공해주고 있다는 사실이 높이 평가된 까닭이다.
수로왕과 가야의 역사를 더듬어볼 수 있는 문헌으로 가장 오래된 것은 『삼국유사』의 <가락국기(駕洛國記)>다. 원래 <가락국기>는 고려 문종 때 지금의 김해인 금관(金官)에 관리로 파견된 문인이 찬술한 글이다. 이를 일연이 간략하게 줄여서 『삼국유사』에 실었다. 간락하게나마 실어두지 않았다면, 가락국의 역사와 이야기는 망각 속으로 사라졌을 것이다. 물론 유물과 유적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생각하면 아찔하다.
_「해양 왕국을 이룩한 김수로왕」 중
『삼국유사』가 고전으로 불리는 진정한 이유는 단순히 과거의 유산이어서가 아니라,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늘 새로 고찰해야 할 가치를 던져주기 때문일 것이다. 『삼국유사, 바다를 만나다』로 새롭게 태어난 『삼국유사』는 그것을 생산하고 소비한 주체가 민중이었다는 사실을 통해 오늘날의 민중의 존재와 그 의의에 대해 되새기게 한다.
인문의 바다, 민중의 바다, 이야기의 바다를 항해하다
『삼국유사』는 그 자체가 바다다. 무진장한 지혜가 출렁이는 보고다. 현대인의 사고방식으로는 쉽게 이해할 수 없는 지혜가 가득하고 이야기 표면 아래 숨겨진 의미 또한 다양하기 때문에 쉬운 듯 어려운 것이 바로 『삼국유사』이다. 쉽게도 읽을 수 있고 어렵게도 읽을 수 있는 『삼국유사』의 지혜는 수천 년의 세월을 지나며 쌓인 경험에서 저절로 얻어진 것이므로 첨단 문명과 갖가지 관념에 지친 현대인들은 그 오묘한 깊이를 체득하지 못한 채 살아간다. 그렇다면 인문주의의 바다 『삼국유사』에서 항해하며 ‘진리의 바다’에서 노닐어보는 것은 어떨까?
책속으로
나 또한 이야기를 통해서 그 바다를 느낄 뿐이다. 저 거대한 바다는 모든 분별과 차별을 무가치하게 만든다. 차별적 이해나 분별적 인식 따위는 바다에서는 한낱 물거품과 같다. 세상에서 견줄 이가 없을 정도로 아름다워서 깊은 산이나 못을 지날 때마다 신물(神物)들에게 붙들려 가곤 했다는 수로부인의 아름다움은 지극히 세속적인 것이다. 아름다움과 추함이라는 분별과 차별 위에서 인식되는 아름다움, 겉으로 드러난 아름다움, 덧없이 사라질 아름다움이다. 진정한 아름다움은 그 너머에 있다. 바다에서 돌아온 수로부인은 어쩌면 죽음을 경험함으로써 그 진정한 아름다움을 얻었는지도 모른다.
_107쪽, 「바다가 유혹한 수로부인」
바다의 신은 힘으로써 횡포를 일삼았던 신이고, 왜국은 무력으로써 침략을 일삼던 어리석은 중생이다. 반면에 불법은 지혜와 자비로써 포용하고 관용하는 철학이요 종교다. 따라서 허황옥이 탄 배는 탑을 실음으로써 불법이라는 버팀목에 기대어 바다의 신을 달래거나 누를 수 있었다. 여기서 바다의 신과 불법의 만남은 고대와 중세의 만남, 또는 고대에서 중세로 전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동시에 탑은 이것과 저것, 안과 밖이 둘이 아닌 하나라는 불교의 요체를 상징하는 것이므로, 이것과 저것은 다르고 안과 밖은 대립한다고 여겨서 침략을 일삼는 왜국을 막을 수 있었던 것이다.
_158쪽, 「이루지 못한 불국토의 꿈 허황옥」
배나무 이목은 곧 용과 같은 이름이어서 하나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그 용에게 천벌을 내리려 한 제석천의 선법당을 지키는 빗장의 몽치로 배나무 이목을 썼다는 것은 곧 용 이목을 제석천의 수호신으로 삼았음을 의미한다. 이는 민중이 이야기로써 용과 제석천을 화해시켜 대립과 갈등을 해소시킨 것이나 마찬가지인데, 그럴 수밖에 없었던 까닭이 있다. 용은 비를 내려주는 힘을 가진 존재고, 제석천은 민중이 지상에서 갖은 괴로움을 다 겪은 뒤에 오르고 싶었던 도리천의 왕이기 때문이다.
_247쪽, 「후삼국의 서해와 보양 스님」
저자 소개
정천구
1967년생.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삼국유사』에 관한 비교 연구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뒤로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문학과 사상, 문화 등을 비교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으며, 주요한 동아시아 고전들과 불교 관련 문헌들을 번역하고 있다.
저서로는 『논어, 그 일상의 정치』, 『중용, 어울림의 길』, 『맹자, 시대를 찌르다』, 『한비자, 제국을 말하다』, 『대학, 정치를 배우다』, 『불교한문 해석법』 등이 있고, 역서로는 『일본영이기』, 『원형석서』, 『삼교지귀』, 『한비자, 난세의 통치학』, 『일본의 각성』, 『새로 보는 선불교』 등이 있다.
목차
책머리에: 인문주의의 바다, 삼국유사
1부 역사와 바다
바다가 기른 영웅, 탈해
바다 건너 문화를 전한 연오랑세오녀
유교 이념에 묻힌 김제상의 부인
바다와 강을 빼앗겨 멸망한 백제
바다에 잠든 통일 외교의 영웅, 김인문
업보를 씻으려 바다에 누운 문무왕
조화와 공존의 가락, 만파식적
바다가 유혹한 수로부인
탐욕으로 무너진 장보고와 청해진
바다의 관용을 지닌 처용랑
망국의 여왕 그리고 바다의 영웅 거타지
해양 강국을 이룩한 김수로왕
2부 불교와 바다
이루지 못한 불국토의 꿈, 허황옥
철강과 철학의 조화, 황룡사장륙존상
바닷길을 지켜준 관음보살들
바다 건너온 부처님 사리와 불경
동해의 수호신이 된 관음보살과 두 고승
동해 물고기들의 성지가 된 만어산
고기잡이를 방해한 산속의 석탑
서쪽 유학(留學)의 길을 연 원광법사
후삼국의 서해와 보양 스님
천축으로 돌아간 승려들
법의 바다에서 나루가 된 자장율사
바다의 중생에게 계를 준 진표
서해에서 나라를 지킨 명랑법사
글을 마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