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석우 지음
쪽수 | 288쪽 |
---|---|
판형 | 148*210 |
ISBN | 978-89-98079-82-6 03600 |
가격 | 19,800원 |
발행일 | 2023년 12월 29일 |
분류 | 예술문화총서 011 |
책 소개
이중섭의 삶이 바뀐 1950년 12월 9일
흩어진 조각을 이어붙여 부산에서의 삶을 복구하다
한국 근현대 미술을 대표하는 작가 이중섭. 그는 1950년 12월 9일 6·25 전쟁을 피해 부산에 도착했다. 1956년 사망 전까지 부산에서 2년여의 시간을 보내며 가장 오래 머물렀으나 부산에서 그의 흔적을 찾기는 힘들다. 왜 부산은 그를 잊어버렸을까. 이 책은 그 의문에서 시작됐다. 피란민으로서 이중섭은 어떤 생활을 했을까, 화가로서 부산 어디서 무엇을 그렸을까. 가장으로서 생계는 어떻게 유지했을까. 저자는 책과 회고담, 기사를 이어 붙여 부산에서의 이중섭을 재구성했다. 『부산에서 찾아보는 이중섭 흔적』을 통해 1950년 부산에서의 화가 이중섭을 만나보자.
이중섭에게 부산, 부산에게 이중섭
이중섭에게 부산은 ‘피란민이라는 원형’을 꼬리표로 달게 된 곳이자 가족을 일본으로 떠나보낸 장소이다. 가난한 생활과는 반대로 북에서 억압당했던 예술 활동을 마음껏 펼칠 수 있었던 공간이기도 하다. 부산은 이중섭에게 예술 정신의 자유를, 생활의 어려움을,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심어준 곳이다. 그렇기에 부산에서의 이중섭을 복원하고 부산에서의 예술 활동을 살피는 것은 이중섭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이중섭이 부산에서 그린 그림 중 현존하는 것은 많지 않다. 1953년 11월 발생한 부산역전 대화재로 그의 작품 대부분이 소실되었기 때문이다. 저자는 빈 여백을 메우기 위해 여러 자료를 면밀히 조사했다. <판잣집 화실>의 배경을 주장하는 여러 가설 중 이중섭의 편지와 그림 속 집의 형태를 근거로 부산 영주동 설을 지지한다. 나아가 영주동 판자촌 모습을 통해 이중섭의 일상을 구체적으로 파고든다. 또한 이중섭의 상징인 은지화가 시작된 부산 다방가의 풍경을 묘사하고 이중섭이 자주 다녔을 경로를 추측하며 이중섭의 발자취를 좇는다. <문현동 풍경>과 <범일동 풍경>의 배경이 된 부산의 과거 모습과 현재 모습을 함께 보여주어 그의 그림을 현재 부산과 겹쳐보기도 한다. 부산은 이중섭에게 새로운 정체성과 감정을 안겨주었고, 이중섭은 부산에게 피란수도의 모습을 그림으로 남겨주었다.
궁핍한 피란민 생활 속에서도 타오른 예술에 대한 열정
원산에서 LST를 타고 부산에 기항한 이중섭은 부산 적기 피란민 수용소에 들어갔다. 당시 이중섭이 가진 것은 입은 옷가지와 미술도구가 전부였다. 저자는 당시 피란민의 모습을 통해 부산에서의 이중섭의 삶을 추론한다. 피란민의 생활상을 알 때 이중섭의 예술적 열의를 오롯이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수용소의 생활은 궁핍했다. 배급받는 식량은 적었고 추운 바닥에 가마니를 깔고 자야 했다. 피난소 안에서 얼어 죽기도 했다. 부두 노동으로 가족을 먹여 살릴 생각을 했던 이중섭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그럼에도 이중섭은 예술을 놓지 않았다. 장소와 재료에 구애받지 않고 담배 속 은지, 장판지에 그림을 그렸다. 이중섭은 어떤 상황에서도 그저 그림을 그리고 또 그리는 예술지상주의자였다.
당시 피란민들의 고달픈 삶은 이중섭을 통해서도 읽어낼 수 있다. 미군이 버린 ‘씨-레이션’ 박스로 판잣집을 만들어 생활했던 피란민의 거주 환경을 우리는 이중섭의 <판잣집 화실>과 <범일동 풍경>을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다.
피란 수도 부산의 어제와 오늘
이 책은 부산에서의 이중섭뿐만 아니라 부산에도 집중한다. 우암동에 존재했던 적기 피란민 수용소와 피란촌의 모습, 범내골, 문현동, 영주동의 내력을 통해 일제강점기를 지나 한국전쟁을 버티고 피란민을 수용했던 부산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한국전쟁과 피란민의 흔적은 옅어졌지만 역사성은 그대로 남아 있다. 저자가 보여주는 과거의 부산과 현재의 부산을 통해 부산의 의미를 되새겨보자.
연관 키워드
#이중섭 #부산 #6·25 #피란민 #이남덕 #근현대미술 #1950년대 #판잣집 화실 #범일동 풍경 #은지화
책 속으로 / 밑줄긋기
p41 적기 피란민 수용소의 벽이나 지붕은 함석이었고 바닥은 시멘트였다. 김인호는 거의 60년이 지났어도 ‘너무 추웠다’는 것을 뚜렷이 기억하고 있다. 겨우 가마니를 받아서 바닥에 깔고 부인과 아이들을 앉혔다. 따로 난방 시설이 없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p72 제주도로 갔던 이중섭과 이남덕은 51년 12월, 부산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방 한 칸’을 구하지 못해 ‘늘 함께 살 수가 없었’다. 겨울이고 아이도 있는데 방을 미리 구해 놓고 온 것은 아닌 것 같다. 함께 살지 못했다면 따로 어디서 살았을까? 최열에 따르면 “아내와 두 아들은 일본인 수용소”에 들어갔다. 이때 “일본인 수용소는 감만동 적기 지구 피란민 수용소 내에 조선인과 구분한 영역”이라고 한다.
p82 이중섭 가족이 살았던 범일동 1497번지(귀환동포마을)에서 남쪽으로 걸어서 5분 거리인 산언덕에 이중섭 전망대(범일동 1462-9)가 있다. 마사코 전망대라고도 한다. 범내골을 한눈으로 둘러보면서 이중섭을 이야기할 수 있는 곳이다. 이중섭이 거주했던 곳은 아니다. 전망대 카페 벽에는 “이중섭이 〈범일동 풍경〉을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곳이다.”라는 설명이 나와 있다.
p164 이중섭은 52년에서 53년으로 넘어가는 겨울을 성동중학교에서 멀지 않은 ‘돌산 기슭’, 문현삼성아파트와 문현여자중학교 근처 어딘가에 있었던 박고석의 판잣집에서 보냈다. 바람이 거센 곳이어서 몹시 추웠다. 우동으로 하루 한 끼 때웠을 정도로 배도 고팠다.
p248 이중섭은 유강렬의 초청으로 53년 11월 중순, 통영으로 가면서 부산 피난 시절 그렸던 작품을 유강렬 부인에게 맡겼다. 11월 말 부산역전 대화재로 큰불이 나면서 유강렬의 집이 불탔고 이중섭 작품도 같이 타버렸다. (…) 상상해 보면 이중섭이 통영에서 많은 작품을 남긴 것은 부산에서 화재로 불타 사라진 작품을 복원하려는 마음도 작용했을 것 같다.
저자 소개
정석우
안 가본 길 가 보는 것이 취미이기는 하나 대개 부산 근교일 뿐이다. 부산에 관심이 있는 것은 무슨 사명감이 있어서가 아니고 살다 보니 자연스럽게 생긴 호기심 때문인 것 같다. 부산 여기저기를 오가며 만나는 것들을 기록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차례
들어가면서
1장 50년 12월 6일, 원산
2장 50년 12월 9일, 부산 적기 피란민 수용소
3장 51년 12월 범내골, “범일동 ‘하꼬방(판잣집)’”
4장 52년 6월, 이남덕의 일본행
5장 이중섭과 돈
6장 52년 여름, 동천 아틀리에
7장 52년 가을, 영도 대한도기 작업실
8장 52년 겨울, 문현동 판잣집
9장 부산의 다방과 이중섭
10장 53년 봄, 대청동 1가 20
11장 53년 여름, 가을, 영주동 〈판잣집 화실〉
12장 광복동 검문소
맺음말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