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무라 토시히코(木村俊彦) 지음 | 권서용 옮김
쪽수 | 448쪽 |
---|---|
판형 | 152*225 |
ISBN | 978-89-6545-140-2 94150 |
가격 | 30000원 |
발행일 | 2011년 4월 30일 |
분류 | 아시아총서 03 |
책소개
7세기 인도불교철학자 다르마키르티의 사상
다르마키르티는 7세기 이후 불교학, 인도철학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불교철학자이자 논리학자이다. 그렇지만 다르마키르티의 주저인 『프라마나바르띠카』(量評釋)는 너무나 난해해서 그것을 해명하는 작업은 지금까지 달팽이걸음이었다. 이 책은 『프라마나바르띠카』의 게송을 해석하여 논고함으로써 다르마키르티의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인 언어이론과 다르마키르티의 종교에서 가장 중요한 신의 존재증명에 관한 이론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 책은 『프라마나바르띠카』의 전 4장 가운데 제1장(추리론) 약 340게송의 후반 약 5분의 2와 제2장(종교론) 전 286게송을 다루었고, 그 외에 다르마키르티의 시 12편을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책의 전반적인 내용은 종교이론에 포괄되는 언어와 성전의 인식론적 체계, 종교적 권위의 정립과 다른 파의 종교적 권위에 대한 논리적 반박으로 이루어진다. 다르마키르티는 많은 타종교와 철학 가운데서도 특히 바라문교의 가장 정통파라고 하는 미망사학파의 베다 성전ㆍ절대인식 근거론과 힌두교 시바 계통의 유력파인 파슈파타 신학에 대한 비판을 중요한 부분으로 기술하고 있다.
책의 구성
이 책의 구성을 간략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서론에서는 다르마키르티에 관한 연구사와 그의 연대 책정 그리고 그의 시에 나타난 그의 삶과 사상을 논하고 있다. 본론은 제1편과 제2편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1편은 다르마키르티의 인식론·언어론·종교론을 다루고 있다. 특히 이 제1편에서는 불교와 비불교의 종교관과 언어관 그리고 인식론의 차이를 정치하게 논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2편은 다르마키르티의 종교적 권위의 변증을 다루고 있다. 제2편은 모두 4장으로 구성되는데, 제1장은 신의 존재증명을 둘러싼 다르마키르티와 비불교와의 논쟁, 제2장은 다르마키르티의 종교론, 제3장은 붓다의 종교적 권위성에 대한 정립, 제4장은 4개의 성스러운 원리[四諦說]를 다루고 있다.
특히 이 책의 서론 3장에서는 시인으로서의 다르마키르티 면모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생전에 다르마키르티는 자신의 책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오히려 무시당하고 있음을 한탄하는 시를 남겼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독한 정진의 길을 가겠다고 다짐하는 강한 의지를 시로써 표명하기도 하였다.
앞에는 수레를 끄는 사람이 가는 일이 없고, 뒤에는 누구도 나를 쫓아오지 않는다. 그리하여 길에는 새로운 흔적이 남지 않는다. 왜 저들은 고독할까! 당연히 그럴 거야. 과거에 밟았던 길은 지금은 버려졌다. 그 딱딱하기 쉬운 길을 나도 단호하게 버리겠다.(본문 61쪽)
다르마키르티의 종교는 ‘해탈’을 목적으로 하며 그의 철학은 ‘지혜’를 지향한다
‘과정(process)’의 철학자 화이트헤드(A. N. Whitehead, 白頭, 1861∼1947)에 의하면 “종교는 고독(solitariness)이다. 만약 당신이 결코 고독하지 않다면 당신은 결코 종교적일 수 없다.” 이어서 그는 “집단적 열광, 신앙부흥운동, 종교기관, 교회당, 예배의식, 그리고 행동규범들은 지나가는 형식들에 속하는 종교의 장식들이다. 그것은 유용할 수도 있고 해로울 수도 있다. 그것들은 권위 있게 제정되거나 또는 단순히 임시방편적인 것일 수도 있다. 그러나 종교의 목적은 이러한 모든 것들 너머에 있다.”(『형성과정에 있는 종교』 동과서, 31쪽)고 한다. 화이트헤드가 말하는 ‘이러한 모든 것들 너머에’ 있는 종교의 목적은, ‘연기(緣起)’의 철학자 다르마키르티에 의하면, 생사윤회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나는 해탈이다.
다르마키르티는 철학자이면서 동시에 종교인이다. 다르마키르티의 종교는 ‘해탈’을 목적으로 하며 그의 철학은 ‘지혜’를 지향한다. 해탈은 맹목적 신앙이나 고행에 의해서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 지혜 즉 대상과 자기 자신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선행되어야만 가능하다. 이 ‘올바른 인식’이란 일체를 공으로, 무아로 보는 공견(空見) 내지 무아견(無我見)을 의미한다. 이 공견과 무아견에 의해서 종교의 궁극적 목적인 해탈이 성취될 수 있다는 것이 다르마키르티의 주장이다. 이런 측면에서 다르마키르티는 대단히 합리적인 사상가임을 확인할 수 있겠다.
맹목적 믿음의 종교를 넘어 합리적 인식을 바탕으로 한 자기 구원
다르마키르티가 살았던 시대는 ‘집단적 열광, 신앙부흥운동, 종교기관, 교회당, 예배의식, 경전, 그리고 행동규범 등 형식에 속하는 종교의 장식들을 강조’하는 세속의 종교가 만연한 시대였다. 이 종교는 교회나 성직자를 통하지 않고서는 신이나 절대자를 만날 수 없다고 강조하며 또한 신을 믿고 신을 경배하며 신에게 제사지내는 것이 구원의 길이라 전도한다. 교회는 세속화되어 갔으며 인간은 더욱 의타적이었고, 종교는 타락해가기 시작했다. 세속화되어가는 교회, 의타적인 인간, 타락한 종교를 지탱하는 맹목적 이념은 ‘불변하는 나’ 혹은 ‘불변하는 우주적 원리’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불변하는 나 혹은 우주적 원리를 전문용어로는 ‘아트만’[我]이라 부른다.
불교는 처음부터 아트만은 없다고 강조한다. 이것이 불교의 무아(無我)설이다. 무아, 불변하는 나가 없다면 ‘나’와 대립하는 ‘너’도 없을 것이며 또한 이 세상도 없을 것이다. 이렇게 본래는 아무것도 없다는 것에서 불교라는 종교는 출발한다. 이 ‘본래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한 글자로 표현한다면 공(空)이라 할 수 있다. 다르마키르티의 철학의 근간은 바로 무아(無我)와 공(空)사상이다. 나라는 존재는 있는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일체가 공이라 체득했을 때 우리는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세계에 대해서 ‘바른 인식’이 생기는 것이다. 다르마키르티는 말한다. 모든 인간의 합목적적 행위에는 ‘바른 인식’이 선행한다고. 바른 인식 없이는 해탈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이 다르마키르티의 철학과 종교의 목적이기도 하다. 이 책은 자기와 대상에 대한 올바른 인식만이 자기를 구원할 것이며 세상을 구제할 것이라는 염원이 담겨 있다.
티베트승려들은 다르마키르티의 텍스트를 외우지 않으면 종교에 입문할 수 없을 정도
동서고금을 불문하고 세계의 12대 사상가를 들라고 한다면 서양에는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아우구스티누스, 칸트, 화이트헤드 등을, 동아시아에는 주자, 왕필, 원효 등을, 인도에는 나가르주나(용수), 바수반두(세친), 다르마키르티(법칭), 상카라 등을 들 수 있다. 존재론적 전통이 강한 서양사상과 실천론적 전통이 강한 동양사상의 경계에서 존재론적 전통과 실천론적 전통을 매개할 수 있는 사상으로, 다시 말하면 철학적 전통과 종교적(윤리적) 전통을 매개할 수 있는 사상으로 바로 불교, 그중에서도 디그나가로부터 출발하여 다르마키르티에 의해 완성되는 불교인식논리학을 들 수 있다. 지금 서구의 종교적 열망을 충족시키고 있는 티베트불교는 바로 다르마키르티의 철학과 종교의 지반 위에 구축된 가르침이다. 티베트스님들은 다르마키르티의 텍스트를 외우지 않으면 종교에 입문할 수 없을 정도이다.
저자, 역자 소개
지은이
키무라 토시히코(木村俊彦)
일본 동북대학 수사 및 박사를 졸업하고 동해여자대학 조교수를 거쳐 사천왕사 국제불교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는 「『방편심론』의 논리와 입장」, 「찰나멸논증과 우다야나의 반론」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다르마키르티 종교철학의 원전연구』, 『동양윤리사상사』 등이 있다.
옮긴이
권서용
부산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부산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 인제대학교 등에서 철학과 종교 및 윤리를 강의하고 있다. 논문으로 「원시불교의 오온설」, 「緣起에 관하여」, 「다르마키르티의 인식론 연구」, 「다르마키르티의 존재와 인식의 본질에 관한 고찰」, 「다르마키르티와 화이트헤드 사상의 접점」, 「다르마키르티와 화이트헤드 사상의 접점(1)」, 역서로는 『무상의 철학』, 『인도인의 논리학』(공역), 『티베트불교철학』(공역), 『근대일본과 불교』(공역)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다르마키르티와 불교인식론』, 『상생의 철학』(공저), 『고전의 반역(2)』(공저), 『고전의 반역(3)』(공저) 등이 있다.
차례
서론
제1장 문제의 소재
제1절 다르마키르티 연구사 Ⅰ 11
제2절 다르마키르티 연구사 Ⅱ 18
제3절 다르마키르티 연구사 Ⅲ 23
제4절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32
제2장 다르마키르티 연대론
제1절 문제의 소재 36
제2절 다르마팔라와 다르마키르티 40
제3절 수반두가 시사한 다르마키르티의 신연대 47
제4절 다르마키르티와 찬드라키르티의 신연대 53
제5절 다르마키르티 신연대의 검증 55
제3장 다르마키르티에 있어서 시와 종교ㆍ철학
제1절 다르마키르티의 생전 평가에 관해서 57
제2절 다르마키르티의 고독과 정진 61
제3절 다르마키르티의 시 속에 있는 사상 64
제4절 정리 67
제1편 다르마키르티의 인식론ㆍ언어론ㆍ성전론
제1장 미망사학파와 다르마키르티의 인식론 논쟁
제1절 미망사학파의 인식과 종교 73
제2절 쿠마리라의 인식근거로서의 성전 78
제3절 구루파와 다르마키르티 85
제4절 속(續)구루파와 다르마키르티 93
제2장 다르마키르티의 인식론의 특색
제1절 문제의 소재 98
제2절 경량부의 인식론 101
제3절 요가행파의 인식론으로 이행 111
제4절 언어와 판단 119
제5절 제1ㆍ2장의 총괄 128
제3장 성전론과 언어론
제1절 불교성전 134
제2절 베다 계시론 비판 146
제3절 스포타설 비판 161
제4절 언어의 무상성 173
제5절 만트라의 인위성 181
제6절 베다성전비판 195
제7절 주저 추리론 성전론의 정리 208
제2편 다르마키르티의 종교적 권위의 변증
제1장 다른 학파의 종교적 권위-신의 증명
제1절 문제의 소재와 파슈파타파 215
제2절 파슈파타파의 실천론 218
제3절 신학적 인간학 228
제4절 니야야ㆍ바이세시카 신학과 신의 증명 235
제5절 파슈파타 신학의 정리 240
제2장 다르마키르티의 프라마나론
제1절『프라마나바르띠카』 종교론에 관하여 245
제2절 프라마나의 정의 249
제3절 신의 존재증명 비판 255
제4절 논리와 언어 262
제5절 신ㆍ동력인설의 비판 265
제6절 붓다의 의의 270
제7절 정리 274
제3장 붓다ㆍ종교적 권위론의 정립
제1절 심상속의 입증 277
제2절 마음의 헤게모니 289
제3절 작인 없는 찰나생멸 295
제4절 윤회의 실상 302
제5절 니야야ㆍ바이세시카 학설 비판 307
제6절 속ㆍ심상속의 입증 319
제7절 자비의 종자 328
제8절 ‘교사’라는 명호에 관하여 333
제9절 ‘지자’라는 명호에 관하여 338
제10절 ‘구제자’라는 명호에 관하여 343
제11절 종교적 권위 정립의 총괄 345
제12절 정리 350
제4장 4개의 성스러운 원리와 실천론
제1절 고의 원리 353
제2절 집의 원리 368
제3절 멸의 원리 375
제4절 도의 원리 382
제5절 다른 학파의 해탈이론 비판 393
제6절 정리 417
결론 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