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사회

귀농, 참 좋다 : 행복을 찾아가는 15인의 귀농열전

장병윤 지음
쪽수
292쪽
판형
152*225
ISBN
978-89-6545-322-2 03300
가격
15000원
발행일
2015년 11월 15일
분류
농업 일반

책소개

도시생활이 주는 억압을 넘어
자연에서 위안과 지혜를 얻은 사람들의 행복 찾기 여정


대도시 거주자 절반 이상이 귀농을 희망할 정도로 ‘귀농 러시’ 바람이 불고 있는 현재, 다양한 형태의 귀농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도시의 소모적 삶에서 벗어나 생태적 삶을 꾸리려는 이들, 자연과 더불어 쾌적한 노후를 보내려는 이들, 생업의 가능성을 농업에서 찾고자 하는 이들 등 도시생활자들이 농촌으로 돌아가 새로운 삶을 모색하는 귀농이 사회적 현상으로 대두되고 있는 요즈음이다. 오랜 기자생활을 마감하고 제2의 인생으로 귀농생활을 알아보던 저자는 귀농지를 탐색하던 과정에서 여러 선배 귀농자들의 삶 이야기를 묶어내기로 결심한다. 저자와 함께 동고동락하며 바쁜 농사 일에도 불구하고 진솔하게 자신의 삶을 털어놓은 15인 귀농인들의 삶의 가치는 ‘행복’이었다. 비록 많이 벌지 못해도 욕망과 소비를 줄이며 자연과 더불어 사는 귀농인들의 삶 속에서 자본주의 사회에서 흔히 배제되는 ‘식량’의 소중함과 ‘행복’ 등 도시생활자들이 지나치기 쉬운 정신적 가치를 다시금 환기하고 있는 책이다.
 

음식은 곧 생명… 그런데 생명의 원천은 어디로 갔는가?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먹는 것, 그다음은 가릴 것, 그리고 잘 곳이 있으면 된다. 그런데 우리의 삶은 어떤가. 먹는 것은 대충이고 모든 게 집에 집중돼 있다. 아파트 평수 늘리려고 안간힘을 쓰면서 자신의 몸을 만들어주는 밥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세태다. _「농사가 되살린 생명, 농사로부터 얻은 위안」, 27쪽. 

IMF가 터지기 반년 전, 작은 사업체를 꾸리던 사장에서 하루아침에 빈털터리 신세가 된 정성락 씨는 온갖 병을 안고 패잔병처럼 고향으로 내려왔다. 1999년부터 생명의 기운이 가득한 자연 속에서 벼농사를 짓기 시작해 점차 병세가 호전되었다는 그는 쌀이 자신의 생명과 자연을 하나로 이어주는 소중한 존재라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농사지은 결과물인 음식의 재료들을 협동조합에 납품하며 ‘소비자’를 생각한다는 그에게서, 독자는 소비자의 입장에서 벼를 만들고 가공하는 생산자의 삶을 엿볼 수 있다. 생산과 소비의 흐름이 ‘돈’이라는 매개로 분절된 자본주의 소비시스템이지만, 결국 우리가 먹고 입고 자는 일련의 모든 활동이 생산자와 소비자의 유기적 도움 없이는 이루어지기 힘들다는 당연한 사실을 다시금 깨닫게 하는 대목이다.

 

함께 살아가는 생명공동체를 꿈꾸다


“농촌공동체를 되살려야 합니다. 공동체를 살리는 게 농촌만이 아니라 인류가 살길입니다. 나이 든 농촌세대가 이제 얼마 뒤면 사라질 것인데 새로운 공동체를 준비해야 합니다.” _「몸살림으로 농사꾼 고된 몸 추스르다」, 168쪽.

이 책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는 다른 귀농 관련 서적과는 달리 ‘귀농’의 범주를 농사를 생업으로 하는 경우로 한정 짓지 않고 농사공동체에 기여하는 여러 유형의 귀농 사례를 한데 모은 점이다. 상업적 의료체계에 맞선 함양의 신종권 씨 사례나, 둘째 딸의 아토피 때문에 ‘생태육아’에 관심을 가지며 수제 소시지 체험관을 운영하고 있는 조현창 씨, 그리고 천연염색 제품으로 각광받으며 의복·침구류 등 다양한 의류제품을 만들고 있는 김철희 씨 등 집 짓는 이, 가르치는 이, 치료하는 이, 조합 일에 종사하는 이를 분류해 구분하지 않았다. 저자는 농촌이 농사만으로 이뤄지는 공동체가 아니라고 힘주어 말한다. 생명을 바탕으로 행복한 삶을 누리는 세상, 단지 농사공동체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그렇게 살아가는 세상이 되길 바라며 저자의 메시지는 귀농인을 꿈꾸는 이들만이 아닌, 도시와 현대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소중한 가치를 전달하고 있다.

 

글쓴이 소개

장병윤


1957년 경북 영양에서 태어나 영남대학교에서 행정학을 공부하고 대학원에서 한국현대사를 전공했다. 1980년대에 문화, 출판운동 판에서 활동하다가 1988년 <국제신문> 복간 당시 입사했다. 논설실장과 논설고문을 끝으로 2014년 정년퇴직했다. 오랫동안 귀농을 통한 생태적 삶을 꿈꾸면서 부산귀농학교에서 생태귀농 39기, 도시농부 1기, 실전귀농 1기 등 귀농 관련 과정을 이수했고 퇴직 후 경남과 강원 지역을 돌며 새로운 삶터를 물색 중이다. 현재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부이사장직을 맡고 있으며, 생명운동과 귀농운동 단체에 참여하고 있다. 2013년 제55회 부산시문화상을 받았으며, 지은 책으로는 反신자유주의 칼럼집 『문명의 그늘』과 『미래를 여는 18가지 대안적 실험』 등이 있다.


 

차례

책을 펴내며


1부 자연에 기댄 생명의 농사


농사가 되살린 생명, 농사로부터 얻은 위안 ‘경주 안강 정성락’
야지에서 키우는 벼농사가 진짜 농사 ‘보성 벌교 선종구’
열정적 삶의 행로, 땅에서 얻은 평화 ‘경북 봉화 윤길학’
농사, 행복을 찾아가는 구도의 길 ‘거창 웅양 이춘일’
‘지속가능한 농사’ 자부심으로 ‘통영 사량도 김형규’
숲에서 배우는 작지만 넉넉한 행복 ‘하동 하동읍 지정구’
닭도 즐겁고 농부도 행복한 사육환경 ‘산청 신안 박상호’


2부 함께 되살리는 농촌공동체


 몸살림으로 농사꾼 고된 몸 추스르다 ‘함양 병곡 신종권’
운명처럼 스며든 지리산 자락 ‘함양 마천 김석봉’
또 하나의 대안, 귀농의 의미 살리기 ‘합천 가야 정우택’
더불어 사는 농촌 꿈꾸는 ‘젊은 피’ ‘합천 대양 강성진’
안전한 먹거리로 ‘건강한 식생활’ 전파 ‘양산 파브르체험학교 조현창’
산에서 찾는 행복 함께 누릴 이 없나요 ‘산청 단성 김제흥’
농촌생산자와 도시소비자가 함께 짓는 농사 ‘밀양 하남 주진호’
자연 속에서 아이들과 함께 배우다 ‘김해 한림 김철희’